확대 l 축소

시들해진 선거판 열기 이래도 되나

공천이 곧 당선이라는 더불어민주당의 일당 독식 구조 탓이지 시장터 저잣거리나 전쟁터를 방불케 해야 할 우리 지역의 선거판이 마치 늦서리 맞은 독사처럼 시들하다 못해 영 맥이 없다. 선거전을 바라보는 유권자들도 간간이 비례대표 선택에만 관심을 보일 뿐 소 닭 처다 보듯무심한 표정들이다. 이번 선거 구도가 윤석열 검찰독재 정부 심판론으로 굳어지자 역시 전통 보수당이 독식하던 서울 강남이나 부울경지역 선거판은 야당 후보들이 의외의 선전을 펼치며 선거판을 뜨겁게 달구고 있다고 한다. 팽팽한 긴장감에 보는 재미가 쏠쏠하다. 현 정부 심판론과 함께 인물론에 정책대결이 치열하게 전개되기 때문이다.
4·10 총선거가 불과 8일 앞으로 다가왔다. 이번 선거에는 전국 254개 지역구에 699명과 비례대표 46석에 253명 등 모두 952명의 후보자가 국민을 대표하는 300명에 들기 위해 선거운동을 벌이고 있다. 전북에서는 10개 지역구에 33명이 입후보해 3.3 1의 경쟁률을 보이고 있다. 그런데 한창 불꽃 튀어야 할 선거판이 너무나 조용하다. 지역 텃밭 정당인 더불어민주당의 경선이 끝나면서 도민들의 관심도 같이 시들해졌기 때문이다. ‘선거가 다 끝났다는 얘기가 심심치 않게 들린다.
이번 선거는 전국적으로 여당에선 거야 견제와 이조(李曺)심판, 야당에선 정권심판과 검찰정권 심판 등 온통 심판론이 선거 구도를 형성했다. 그러다 보니 거대 양당만 보일뿐 총선 본래의 지향점인 지역 이슈에 대한 공약과 인물에 대한 평가는 뒷전이다. 특히 전북은 40년 가까이 민주당 독식 구조여서 진영논리에 함몰돼 있다. 그렇다 하더라도 이번 선거에서 도민들은 어느 후보가 낙후된 지역을 발전시킬 적임자인지 냉철하게 판단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정당보다는 인물과 정책을 면밀히 살펴보고 신중하게 투표에 임해야 한다. 이미 선거공보물은 각 가정으로 발송됐다. 이 지료를 찬찬히 살펴보면 내 지역구 출마자들이 어떤 삶을 살아왔고, 유권자들이 부여한 주권의 대리인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인물인지 대충 가려낼 수 있다.
먼저 이들이 제시한 공약과 정책을 보자. 민주당 전북도당은 자산운용 특화 금융도시와 그린성장 중심지 등 9대 정책공약을 발표했다. 이들 공약은 그동안 전북자치도에서 발표했거나 추진해 온 것들로, 대부분이 재탕 삼탕 공약이다. 영혼 없는 지역현안을 나열한 수준이다. 각 후보들이 내세우는 공약도 재원조달 방안 등 실행력이 담보된 사업은 드물다. 지역에 대한 애정과 고민이 담겨있는지 의심스럽다. 능력과 인물도 잘 살펴보자. 후보자들의 과거 경력과 학력 등 지나온 길을 뜯어 보고 범죄전력, 병역, 탈세, 탈당 여부 등을 꼼꼼히 챙겨야 한다. 그래야 지역을 대표하는 머슴으로서 기본 자질을 갖추었는지를 알 수 있다. 지난 21대 도내 국회의원들은 존재감이 약했다. 후보들이 내놓은 공약이 잘 지켜질 수 있을지, 어떤 후보가 도덕적으로 흠결이 없는지를 잘 살펴야 한다. 후보자의 공약과 능력을 촘촘히 살펴보고 현명하게 판단해야 지역이 흥한다.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