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0 총선이 끝나고 사회는 다시 일상으로 돌아가 가고 있다. 총선 결과에 대한 분석과 함께 향후 정부 여당의 국정 운영을 놓고 전망이 난무한다. 확연하게 드러난 것은 이번 총선 민심은 윤석열 정부에 대한 국민들의 ‘정권심판’이 매서웠다는 점이다. 도내 선거구 10석 모두를 석권한 선거 결과가 이를 반증한다. 20여년 만에 전북의 선거 지형은 민주당으로 채색됐다. 특정 정당 독식 구조의 폐해를 누구보다 잘 알고 있는 고육지책의 선택이다. 당선인들의 면면을 보면 지난 21대에 비해 선수(選數)가 높아졌다는 점이다. 여의도 정치에 처음 합류하는 당선인은 2명과 불과하고 5선 1명에 4선 1명, 3선 3명, 재선 3명 등으로 구성돼 있다. 그만큼 여의도를 경험한 의원들이 많이 포진했다는 점에서 기대가 크다. 따라서 전북의 당선인들은 더 겸허한 자세로 '정권심판'과 '지역발전' 두마리 토끼를 잡아야 할 숙제를 안고 있다. 도내 당선인 10명은 지난 주말 전북자치도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윤석열 정권을 심판하고 민주주의를 실현하라는 도민, 국민의 목소리를 가슴에 새기겠다"고 다짐했다. 이들이 한자리에 모여 도민들에게 약속한 만큼 4년 임기 내내 엄중한 명령을 잘 수행하리라 믿는다. 당선자들은 "윤석열 정권의 독단적인 국정 운영으로 서민 경제는 파탄 나고 민주주의는 파괴돼 대한민국의 총체적 퇴행을 야기했다"며 "정권 심판과 전북자치도 성공에 대한 열망이 이번 총선 결과로 나타났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단순히 정권에 맞서 싸우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무참히 짓밟힌 도민의 자존심을 회복하고 전북이 다시는 홀대받지 않도록 전북 몫을 확실히 챙겨야 한다. 사실 야당 일색인 도내 의원들이 정권과 대립각을 세우며 싸우는 일은 쉬울 수도 있다. 그러나 정말 어려운 것은 아사 직전에 처한 전북경제를 살려내는 일이다. 매일 고민하고 매일 뛰어야 하고 성과로 보여주어야 한다. 지역발전을 말이 아닌 구체적 행동으로 보여야 한다. 평가는 당장 올 연말부터 나오기 시작한다. 내년도 전북 관련 예산을 얼마나 확보하는가에 따라 첫 평가가 이뤄질 수밖에 없다. 가뜩이나 정부여당에 대한 소통창구가 막혀있는 상황에서 각종 사업과 예산을 얼마나 확보할지는 매우 불투명하다. 그 성과에 따라 민주당 일색인 당선자들의 평가가 나올 것이다. 우선 첫발을 잘 떼어야 한다. 10명 밖에 안되는 전북 지역구 의원들이 국회 상임위에 고루 분포되는 것부터 중요하다. 자기 구미에 맞는 인기 상임위만을 고집하면서 지난 21대 처럼 1개 상임위에 2명, 3명씩 들어가는 것은 전북도의 입장에서 전혀 바람직 하지 않다. 국회의원에게 상임위는 매우 중요하다. 의원 개인마다 선호하는 상임위도 있을 수 있다. 그렇다 해도 특정 상임위에 도내 의원들이 몰리는 일은 피해야 한다. 중앙당의 기준과 원칙이 있겠지만 10명 전원이 원팀으로 뭉쳐 다선의 선배 의원들이 사전 조율을 통해 지역 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상임위 안배가 반드시 필요하다. 당선인들의 눈부신 활약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