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청년 스마트팜이 농촌 인구소멸 막는다

인구소멸은 전북만의 문제가 아니라 서울 등 수도권을 제외한 전국적 현상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와 전국 각 자치단체들은 실로 다양한 방법과 정책적 수단을 사용하고 있으나 기대만큼 효과가 나오지 않아 저마다 고민이 깊다.
그런데 전북자치도가 2022년부터 올해까지 지방소멸과 지역인구감소 대응을 위해 청년 창업농을 대상으로 청년창업스마트팜패키지 지원사업을 추진한 결과, 기대 이상의 효과가 나타나면서 우수사례로 평가를 받아 눈길을 끈다.
지방소멸대응기금 발굴 사업의 하나로 추진되고 있는 청년창업스마트팜패키지 지원사업은 인구감소지역에 정착을 결정한 청년 농업인에게 시설원예 스마트팜 일체를 개소당 44천만원을 지원, 가족단위의 농촌 정착과 함께 농업경영을 유도하고 있다.
전북자치도는 전주 군산 완주 등 비교적 인구가 많은 도시화 지역을 제외한 도내 동부권 등 11 ·군을 대상으로, 농촌 청년들의 도시 이탈을 막고 타 시도 청년의 유입을 통해 안정적으로 농촌 정착을 유도, ‘돈버는 젊은 농촌을 조성한다는 전략으로 출발했다.
신규 진입하는 청년 농업인에게 스마트팜 하드웨어 지원만으로는 사실상 농촌 정착과 안정적 소득을 기대하기는 쉽지 않다. 청년농업인이 사업대상자로 선정된 시점부터 농업경영이 안정화될 때까지 전문가 컨설팅, 재배기술교육을 실시해야 하고 지역 정착에 필요한 리더교육과 지역주민과의 융화교육도 병행해야 가능한 일이다. 전북자치도는 이에 따라 청년창업보육센터에서 스마트팜 교육을 실시하고 임대형 스마트팜3년간 입주시켜 예비창업을 준비하게 하고 스마트팜 패키지 지원을 통한 취·창업 기회를 제공, 청년농의 성장단계별 스마트팜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다.
이 결과, 서울 등 대도시에서 대학을 졸업했거나 직장생활 중에 스마트팜 매료돼 김제와 장수 등으로 전북행을 결정한 청년농들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여기에 더해 가족까지 동반 이주를 하거나 혼자 내려온 타지역 청년들은 지역 청년들과 결혼을 하면서 청년농의 가족단위 농촌 정착이 자연스럽게 이뤄지고 있다.
스마트팜은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 작물 재배 시설의 다양한 요인을 측정하고 분석하여 원격으로 관리할 수 있는 지능형 농장이다. 이를 통해 농업 생산, 유통, 소비 과정에서의 생산성, 효율성, 품질을 향상시킨다 스마트팜 기술은 노지, 온실, 식물공장 등 다양한 농업 환경에 적용될 수 있어 스마트 팩토리 개념과 유사하다. 이 때문에 나이 먹어 은퇴한 귀농 귀촌자보다 청년들이 참여해야 성공 가능성을 높여 농촌지역에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다. 스마트팜은 노동력과 에너지 사용을 최적화하므로 힘든 일이 아니다. 디지털에 익숙한 청년들은 누구나 참여할 수가 있다. 전북만의 특색있는 청년 스마트팜 지원책이 인구소멸의 대안으로 평가받으면서 농촌에 청년이 돌아오는 가능성이 확인됨에 따라 청년스마트팜에 집중 투자하는 일은 무엇보다 중요해졌다. 모쪼록 이 사업이 소기의 성공을 거둬 인구소멸을 막고 농업인의 삶의 질 향상에 크게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