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현안문제 해결에 크게 기여하지 못해 도민들에게 실망감을 안겨주었던 21대 국회 임기가 한 달여면 끝난다. 특정 정당의 독식 구조에다 전북지역 정치인들의 미약한 존재감으로 인한 정치력 부재가 지역 현안을 해결하는데 한계였다는 지적 속에 이제 한 달여 후에는 새로운 임기의 22대 국회가 출범한다.
22대 국회의원을 선출하기 위한 지난 4.10 총선에서 도민들은 예상한 바대로 더불어민주당에 전폭적인 지지를 보내 10석 모두를 석권하게 했다. 다만 이전과 다른 점이 있다면 도민들은 비례정당인 조국혁신당에 45.53%를 몰아줬다. 이는 광주 47.72%에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높은 득표율이다. 민주당의 위성정당인 더불어민주연합에 던진 37.63%보다 월등하게 높았다. 그만큼 도민들이 조국혁신당에 대한 기대가 컸다는 방증이다. 왜일까? 우선 윤석열 정권에 대한 심판 열망이 가장 큰 이유겠지만 특정 정당 일색의 전북지역 국회의원들이 조국혁신당과 협치해서 지역의 대형 현안을 잘 풀어내라는 메시지가 담겨 있다. 그동안 전북은 민주당의 텃밭이었다. 1988년 이래 40년 가까이 압도적으로 밀어줬다. 그러다 보니 국회의원이나 지자체장 등 선출직들은 모두 중앙당의 눈치만 보며 도민들의 삶을 등한시했다. 이번 총선에서도 민주당에 대한 피로도가 높았으나 정권심판론과 국민의힘에 표를 줄 마땅한 인물이 없다 보니 민주당을 찍을 수밖에 없었고 조국혁신당은 비례대표에서 그 대안이 되었던 것이다. 따라서 조국혁신당은 이제 민주당과 협력과 경쟁관계 속에서 낙후된 전북 발전에 도움을 줘야 한다. 갓 태어난 신생 비례정당이어서 한계는 있겠지만 도민들의 높은 지지를 잊지 말고 전북에 지속적인 관심을 가져야 한다. 우리 도민들의 조국혁신당에 대한 강력한 지지는 지역발전에 대한 오랜 갈망을 담았다. 특히 올해는 전북특별자치도 출범으로 도민들의 기대가 높고 크다. 특별한 기회를 만들어 새로운 전북시대를 열어나갈 수 있을 것이라는 희망 때문이다. 지역소멸 위기의 시대, 다른 지역과 차별화해 장기적으로 전북의 미래를 이끌 수 있는 큰 틀의 발전전략, 거대 담론을 만들어 내야 한다. 여기에 전북지역 의원 10명과 조국혁신당 12명의 의원은 힘을 모아야 한다. 이제 지역발전 전략의 패러다임 전환이 예고됐다. 새롭게 출범할 제22대 국회의 역할이 막중하다. 민주당 전북자치도당이 이번 총선에서 제시한 9대 정책공약은 △미래 융복합 신산업과 자산운용 특화 금융도시 조성 △2045 탄소제로 그린성장의 중심지 조성 △첨단농업과학기술로 농생명산업 강화 △글로벌 K-컬쳐 △청년투자 확대, 민생경제 활성화 △안전하고 행복한 복지 전북 △새만금 주요 사업 2030년까지 완공 △주요 SOC 조기 구축 △입법을 통한 전북특별자치도 성공 등이다. 대부분이 재탕·삼탕이라는 지적이 있지만 이들 공약은 반드시 이행돼야 한다.
이제라도 멀리 보고 지역발전의 큰 그림을 그려야 한다. 제22대 국회가 개원하면 곧바로 지역 국회의원들과 조국혁신당, 지자체가 머리를 맞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