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을 비롯한 전국 주요 도시의 혁신도시들은 서울과 수도권 등 일극 중심의 기형적 구조에서 탈피, 지역 간 균형발전으로 국가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조성됐다. 수도권 과밀화를 해소하고 비수도권 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다. 수도권에 집중된 인구와 산업을 분산시켜 지방균형발전을 도모하는 것이 주된 목표였다. 지방에도 첨단산업과 연구개발 인프라를 집중적으로 깔아 국가 전체의 경제 활성화를 꾀하고 경쟁력을 갖춘 산업클러스터를 구축해야 국제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있다는 절박함도 담겼다. 정부는 이를 위해 공공기관과 산업시설들을 지방으로 옮겨 지방정부의 역량을 강화하고 지자체들이 주도적으로 지역발전 계획을 수립, 시행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 이런 목표 아래 조성된 전북혁신도시가 2013년 지방자치인재개발원을 시작으로 2017년 9월 한국식품연구원까지 13개 공공기관이 이전을 완료한 가운데 전북도와 전주시, 완주군, 이전공공기관과의 상생협력을 통해 지역발전의 성장거점으로 자리잡고 있다. 그 중 하나인 국민연금공단은 지정학적 위험과 큰 변동성으로 지난해 글로벌 투자환경이 녹록지 않았는데도 투자 포트폴리오 다변화와 운용 전문성 강화 등에 힘입어 전북에서 두 자리 수익률을 달성하며 최고 수익률을 기록했다. 1천조가 넘는 천문학적 액수의 금융을 다루는 연금공단은 툭하면 정치권 등에서 서울 등 수도권 재이전을 주장해 도민들의 원성을 샀다. 연금공단이 지방에 소재하고 있어서 수익률을 제대로 내지 못한다는 것이 이들의 주장이지만 속을 들여다 보면 이들의 의도는 뻔하다. 전북자치도에 따르면 지난해 국민연금공단 기금운용본부의 수익률이 13%를 넘어서며 출범 이후 역대 최고 성과를 거뒀다. 기금운용본부가 발표한 국민연금기금 적립금은 1천35조8천억원이며 수익금 1백27조, 수익률 13.59% 등을 기록했다. 기금운용본부는 지난 2017년 전북혁신도시로 이전한 이후 대체로 양호한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2022년 역대 최악의 수익률을 이유로 중앙 언론과 정치권에서 ‘수도권 재이전설’에 군불을 지피며 전북도민들의 공분과 반감을 산 바 있다. 전북도는 국민연금공단을 비롯해 지역에 안착한 이전공공기관과 거버넌스를 꾸려 기관장급부터 실무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협력 방안을 논의해야 한다. 전북혁신도시로 이전한 공공기관의 지역인재 채용 비율은 전국에서 가장 높고 가족동반 전입인구 비율도 전국에서 3번째로 높다고 한다. 전북을 떠나는 유출 인구를 이들의 가족동반 유입으로 만회하고 있는 것이다. 지난해 12월 기준 이전공공기관에는 전북 전입인구 5천8백93명 중 가족동반 이주 인원은 4천5백21명이며 비율은 76.7%로 부산 82.3%, 제주 82.1%에 이어 3번째로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따라서 전북자치도를 비롯한 관련 기관들은 전북에 안착한 이전공공기관과 지속적으로 소통하고 협력해 지역산업육성과 지역인재채용 등 지역경제의 경쟁력 강화는 물론 전북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동반 상생의 협력관계를 더욱 다져 나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