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 재난, 특히 지진은 예고 없이 찾아 온다는 점에서 사전에 적절한 대처 방법을 알고 있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비상식량과 물, 응급처치 키트, 손전등, 배터리, 휘발유, 중요 서류 등의 물품을 담은 비상용 키트를 준비해 두고 각 가정에 비상 연락처와 대피 계획을 사전에 마련해 두어야 한다. 무거운 가구와 전자제품은 벽에 고정해 넘어지지 않도록 하고 깨지기 쉬운 물건은 낮은 선반에 보관하는 것도 지진에 대비하는 지혜다. 이 밖에 많은 지진 대피 요령과 지침이 있지만 요즘은 스마트폰에 지진 경보 앱을 설치할 수 있어 지진발생 시 이를 이용하면 빠르게 대응할 수 있다. 12일 오전 8시 26분 부안 남남서쪽 4㎞지역에서 4.8 규모의 지진이 발생했다. 진원의 깊이는 8㎞, 행정구역상 부안군 행안면 진동리 부근이다. 그동안 지진 등 자연재난에 비교적 안전했던 우리 지역도 이제는 안심할 수 없다는 점에서 도민들이 느낀 심리적 불안감은 컸다. 이 지진으로 마을 창고가 두 동강이 나고 석산이 무너지는 등 300여 건의 크고 작은 피해가 잇따랐다. 이번 지진은 올들어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지진 중 최대 규모다. 또한 기상청이 지진을 관측하기 시작한 1978년 이래 도내에서 발생한 가장 큰 규모다. 신속한 피해 복구와 총체적 안전점검의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정부는 위기관리 매뉴얼에 따른 안전조치와 원전·전기·통신·교통 등 국가 기반시설에 대한 점검에 나섰고 산림청은 전북지역에 산사태 위기 경보를 발령했다. 지진의 안전지대라고 여겨졌던 우리나라는 1990년대 후반부터 지진이 잦아지기 시작했다. 2000년 들어 연간 30회 이상 발생하다 2016년 252회, 2018년 115회로 3년간 폭증했다. 2019년부터 조금 줄어들다 지난해 규모 2.0 이상의 지진이 106회로 늘어났다. 규모 3.0 이상도 16회 발생했다. 우리나라 최대 규모의 지진은 2016년 9월 경주에서 일어난 5.8 규모였다. 이어 2017년 11월 포항에서 5.4 규모의 지진이 발생했다. 지진은 인간의 힘으로 막을 수 없는 불가항력의 재난이다. 하지만 평소 철저한 대비와 교육, 투자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안전 수칙을 숙지하고 가족과 함께 실천, 위기 상황에서도 침착하게 대처할 수 있어야 한다. 지진이 잦은 대만의 경우가 좋은 반면교사다. 대만은 1999년 규모 7.3의 지진으로 2천4백여명이 목숨을 잃었다. 이후 정부가 나서 내진설계 기준 강화와 모든 직장과 학교의 훈련 의무화로 철저히 대비했다. 덕분에 올 4월에 일어난 규모 7.2 지진에는 12명이 사망하는데 그쳤다. 하지만 우리의 지진 대비는 허술하다. 2023년 6월 기준 국내 건축물의 내진율은 16.4%에 그치고 있다. 그나마 전북은 13.6%로 밑바닥이다. 앞으로 내진설계를 강화하고 교육과 투자도 지속적으로 늘려야 한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위기 발생 시 즉각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고 훈련을 의무화해야 한다. ‘방심은 큰 재앙으로 직결된다’는 평범한 교훈을 잊어서는 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