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이달 초쯤 민생토론회를 주재하기 위해 전북을 찾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대통령의 민생토론회는 지난 1월 4일 경기도 용인을 시작으로 이달 20일 경북 경산시까지 총 26회에 걸쳐 열렸다. 민생토론회를 개최한 것은, 대통령이 매년 중앙 부처로부터 한 해의 사업계획을 보고받는 업무보고 대신 현장에서 국민의 생생한 목소리를 듣고 문제를 신속하게 해결한다는 취지에서다. 일각에서는 현장에서 국민의 목소리를 직접 듣는다는 점에서 대통령의 소통 의지를 평가하기도 한다. 하지만 당시 야댱을 중심으로 한 대다수 국민들은 4월 총선을 앞두고 획책한 노골적인 관권선거 운동이라며 거세게 비판했다. 민생토론 장소가 주로 박빙의 경쟁구도가 형성된 지역만을 찾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선거 직전 민생토론이 일시 중단됐다가 다시 재개되는 등 지금도 뒷말이 무성하다. 전국의 민생토론에서 대통령이 내놓은 가장 큰 규모의 정책은 반도체 클러스터였다. 대통령은 총선 전 수원시 성균관대 자연과학캠퍼스에서 세계 최대 규모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를 만들기 위해 662조를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민간기업이 투자하고 정부가 기반시설을 지원하는 내용이지만 대통령 주도로 600조가 넘는 돈을 투자하는 것처럼 포장됐다. 물론 예산을 어떻게 확보한다는 내용은 어디에도 없었다. 이러다 보니 ‘총선용 말 폭탄’이라는 비판이 쏟아졌다. 그 중에서는 착공식이 열린 의정부시청에서 “본격적인 GTX 시대를 열겠다”고 했고 대전에서는 대전~세종~충북 광역급행철도 선도사업을 임기 내 착수하겠다고 약속했다. 지방에선 더욱 노골적이었다. 엑스포 유치 실패로 부정 여론이 확산된 부산에선 “부산을 남부권 중심축이자 명실상부한 대한민국 제2 도시로 육성하기 위해 ‘글로벌허브도시특별법’을 제정하겠다”고 했다. 천문학적인 예산 투입도 약속했다. 분야별 정책도 마구잡이로 쏟아냈다. 카이스트 졸업생 ‘입틀막’ 사건이 있었던 대전에선 “이공계 대학원생들에게 석사는 매월 최소 80만원, 박사는 매월 최소 110만원을 빠짐없이 지원하겠다”고 해 실소를 자아냈다. 이렇게 열린 민생토론회에서 무려 3백개가 넘는 정책이 발표됐고 예산의 뒷받침 등 실행력 없는 공약(空約)이라는 비판이 뒤따랐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북으로서는 대통령 방문이 소중한 기회인 만큼 발전의 동력으로 삼았으면 좋겠다. 이를 위해서는 의제 준비를 철저히 한 뒤 선택과 집중을 통해 꼭 필요한 과제를 관철시키려는 전략이 필요하다. 전북은 지난해 8월 새만금잼버리 파행으로 새만금 SOC 예산 삭감 등 각종 불이익을 받았다. 이번 방문은 이런 도민들의 상처를 다독이는 자리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토론회는 알맹이가 있어야 하고 그것이 결실로 맺어져야 한다. 약속의 실현 가능성을 떠나 대통령은 대구경북 방문 때 3조4천억 규모의 영일만 횡단고속도로와 3천억 규모의 소형모듈원전 국가산단 조성을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낙후된 전북은 이 보다 더 많은 지원이 꼭 이뤄지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