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역지사지의 자세로 완주-전주 통합 이루자

김관영 도지사가 기자회견을 열어 완주-전주 통합 추진에 대한 의지를 밝혔다. 김 지사는 전주시와 완주군이 통합되면 특례시 지정을 신속하게 추진하고 도지사 권한을 대폭 특례시로 이양해 더 많은 자율성과 다양한 발전 기회를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도지사 권한이 과감하게 통합시에 이양됨으로써 획기적인 지역발전의 전기가 마련될지 도민들의 기대가 크다. 완주군민 6천여명의 서명이 담긴 완주전주 통합건의서가 지난 612일 전북자치도에 제출됐다. 도지사는 관련 법에 따라 통합 건의에 대한 의견을 건의서에 첨부해 대통령 직속 지방시대위원회에 제출해야 한다. 이번 주민 서명에 의한 시군 간 통합 건의는 전국 최초의 사례라는 점에서 관심을 끈다. 행정구역 통합과 같은 중차대한 과제에 주민들이 직접 참여하고 해법을 모색하는 선진모델이 전북에서 시작된 것이다. 전주와 완주, 완주와 전주는 하나가 되어야 맞다. 누구의 편을 드는 문제가 아니라 전북도민의 생존이 달린 문제이기에 그렇다. 전주완주가 통합되면 경쟁력 있는 자족도시 창출’, ‘효율적인 행정서비스 창출’, ‘자랑스러운 전주·완주 역사의 계승이라는 세 가지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전주시는 도내 최대 도시로 교육과 문화, 서비스 등 생활 기반시설이 뛰어나다. 그러나 완주군에 둘러싸인 지리적 여건으로 확장 발전의 모멘텀을 찾지 못하고 있다. 반면 완주군은 공간적 제약은 없지만 다수 군민이 전주시의 생활시설을 공유하고 있다. 이런 양 지역의 장점을 잘 결합하고 보완한다면 분명히 큰 시너지 효과가 나올 것이다. 대기업 유치 등을 통해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주민의 삶의 질이 개선되는 동반발전의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낼 수 있다. 최근 혁신도시와 삼봉지구, 운곡지구 등 신규 주거단지 개발로 완주군 인구가 늘고 있지만, 이는 전주권 주민의 이동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양 지역의 장단점을 보완해 지지대를 더 튼튼히 만든다면, 지방소멸에 대응하는 획기적인 전환점이 될 것이다.
이미 통합 청주시 사례가 이를 입증하고 있다. 대부분의 시군이 인구감소로 어려운 상황에도 청주시는 통합 후 인구가 1만 명 이상 늘었다. 제조업체 수도 2014년 대비 4배 이상 급증해 인구와 경제가 선순환하는 100만 자족도시로 도약하고 있다. 전주와 완주의 잠재력과 가능성은 청주에 뒤지지 않는다. 훨씬 더 무궁무진하다. 지금 전북은 많은 청년들이 일자리를 찾아 고향을 떠나고 있다. 소중한 우리의 청년들이 타지로 떠나지 않고 함께 살아갈 터전을 만드는 것은 중요한 책무이다. 전주와 완주가 손을 맞잡고 힘을 모아야 할 이유다. 갈등과 분열보다는 역지사지의 자세로, 전북의 미래를 진지하게 고민해야 한다. 완주군민들의 통합건의서 제출로 통합논의가 본격화된 만큼 도민 모두가 바라는 상생발전 방안을 찾아야 한다. 大事를 성사시키는 과정에서 치열한 논의와 담론이 발생하는 것은 당연하고 건강한 일이다. 부디 양 지역 주민들이 사실에 근거해서 합리적이고 생산적인 논의를 펼쳐 나가기를 기대한다.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