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인천 전기차 화재, 남의 일 아니다

최근 인천 청라지구 아파트 지하1층에 주차된 벤츠전기차에서 배터리 발화로 추정되는 화재가 발생해 8시간여 만에 진압됐다. 이 화재로 주민 23명이 연기를 흡입하고 480여 세대가 단수단전으로 피신하며 140대 이상의 차량이 소실되거나 그을음 피해를 입었다. 전기차량 한 대에서 발생한 피해치고는 그 규모가 커서 놀랍다. 요즘 지역을 불문하고 전기차 보급이 빠르게 늘고 있어 관련 기관들은 이번 사고를 타산지석 삼아 대비책을 완벽하게 세워야 한다.
사고가 난 벤츠차량은 중국 CATL사의 NCM 811 배터리를 탑재했는데 유사한 화재 사고가 자주 발생했다. 하지만 NCM계열 리튬이온 배터리의 성능이 좋아 전기차에 많이 채택되고 있는 만큼 특정 배터리의 문제로만 볼 수는 없다. 수백개의 배터리셀로 구성되는 전기차의 구성상 1개의 셀이라도 불량으로 고온이 되면 전체 배터리로 확산되는 것이 문제다. 현재는 화재 소화도 쉽지 않은 구조다. 특히 요즘에는 지하에만 주차장이 있는 아파트가 늘고 있는데 높이 제한으로 소방차 진입이 어려운 것도 문제다. 전기차 소화방법 및 장비도 충분치 않다. 이대로 방치할 경우 앞으로도 유사한 사고가 발생할 수 있어 차제에 전방위적인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모든 전기차가 문제라거나 화재 문제를 축소회피하는 것 모두 부적절하다. 기존의 내연기관 차량은 사실 전기차보다 화재 발생률이 높다. 보급 초창기인 전기차의 안전성은 더욱 개선될 것으로 봐야 한다. 전기차 소화가 어려운 점은 큰 문제이고 시급히 해결돼야 한다. 환경성은 물론 경제성까지 갖춰가고 있어서 안전성만 추가되면 주류 미래차가 될 것이다. 신성장동력 산업으로서나 탄소중립의 수단으로서나 전기차에 필적할 만한 대안이 없다. 세계에서 가장 먼저 실용화에 성공했지만 잇따른 화재사고로 큰 시장을 내놓고 후발국으로 밀려난 대용량에너지저장장치(ESS)의 사례가 반복돼서는 안된다.
이를 위해 우선 전기차 소방설비를 대폭 확충해야 한다. 아파트 지하에 주차돼 있는 경우가 많은 만큼 낮은 층고의 지하주차장 진입이 가능한 전용 소방차량을 지역마다 구비해야 한다. 전기차 전용 화재진압 장비도 확보해야 하고 기술개발도 필요하다. 전기차 화재 안전규격도 강화해야 한다. 셀 고장을 감지하고 셀 간 전이를 차단하며 화재시 진압이 용이한 구조를 제조사가 채택하게 규격을 정비해야 한다. 가능한 기술이 있는데 경제성 때문에 안전성을 희생한 부분을, 공공안전을 우선해서 바로 잡는 과정이다. 전기차가 충분히 보급돼 가고 있는 지금 시점에 정부가 채택해야 할 정책이다. 전기차 사용자들도 보다 안전하게 사용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안전대책이 충분하게 강구되기 전까지 100% 충전 대신 80~90% 정도로 충전하는 것을 권장하자. 배터리 수명 때문에라도 급속보다 완속충전을 자주 하는 것이 좋다. 아파트에는 야외충전소를 설치하고 전기차 전용 지상주차장 마련도 필요하다. 사고를 미연에 막을 수는 없더라도 대책을 세워 전화위복의 계기로 삼는 것은 우리의 선택이고 책임이다.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