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추가 지나고 말복이 코앞인데도 불볕더위는 기세를 꺾지 않고 맹위를 떨치고 있다. 올 여름, 기록적인 무더위가 이어지면서 열사병과 같은 온열 질환으로 인한 인명피해가 잇따르고 있다. 기후 변화로 인한 폭염이 더욱 잦아지고 강도가 심해진 가운데, 이러한 인명피해는 개인의 건강 문제를 넘어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막바지 폭염 피해에 각별한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무더위로 인한 인명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우선 개개인의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 무더위는 단순히 불편함을 주는 기상 현상이 아니라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재난이라는 사실을 인지해야 한다. 이에 따라 기상청의 폭염 경보나 주의보가 발령될 경우, 야외 활동을 최대한 자제하고 실내에 머무르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낮 시간대인 오전 10시에서 오후 5시 사이에는 외출을 삼가고 부득이하게 외출해야 할 경우 충분한 수분 섭취와 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해 체온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고령자와 어린이, 만성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 등 폭염에 취약계층에 대한 보호 대책도 강화돼야 한다. 공공 차원에서도 폭염 대응 체계를 보다 정교하게 구축할 필요가 있다. 전북에서는 지난달 20일부터 거의 한 달동안 폭염특보가 지속되는 등 일 최고 체감온도가 35℃를 오르내리는 등 무더위가 계속되고 있다. 이 기간 폭염으로 진안에서 90대 노인이 열사병으로 사망한 가운데 1백10명의 온열질환자가 보고됐고 가축 피해는 총 5만8천610두수가 집계됐다. 이에 따라 기초생활수급자, 홀몸노인, 장애인 등 폭염 취약계층에 대한 보호를 강화하기 위해 재난도우미 2만3천여명을 활용, 방문 및 전화 상담 등을 통해 건강 관리를 지원하고 있고 노숙인 보호를 위해 현장대응반과 노숙인시설 5개소도 운영하고 있다. 도내 지정된 실내외 무더위쉼터 6천39개소를 통해 주민들이 안전하게 더위를 피할 수 있도록 상시 운영하고 있고 스마트 그늘막과 스마트 승강장 등 폭염저감시설 1천534개소를 활용해 폭염에 대응하고 있다. 폭염 특보가 발령되면 각종 야외 행사와 작업을 연기하거나 취소하는 지침을 마련하고 근로자들의 폭염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노동 시간을 탄력적으로 조정하는 방안이 검토돼야 한다. 특히 농업, 건설업 등 야외작업이 불가피한 업종에 종사하는 근로자들에게는 충분한 휴식과 수분 공급이 보장될 수 있도록 실효성 있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장기적으로는 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사회적 인프라 구축이 시급하다. 급격한 기후 변화는 폭염뿐만 아니라 다양한 재난을 동반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국가 차원의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대응 전략이 필요하다.
무더위로 인한 인명피해는 예방할 수 있는 비극이다. 정부와 지자체, 기업, 그리고 도민 모두가 함께 노력해 막바지 폭염에 대한 철저한 대비와 신속한 대응을 실천할 때, 무더위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기후 변화 시대에 우리는 더 이상 무더위를 단순한 여름철 불편으로만 여겨서는 안 된다. 생명을 지키기 위한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