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전북, ‘대한민국 청년 스마트팜’의 메카

전북자치도가 ‘대한민국 농생명산업 수도’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일환으로 청년농과 연계한 ‘청년 스마트팜’ 확대에 주력하고 있다. 도는 2022년 24.4ha, 2024년 35ha, 2026년까지 70ha로 청년 스마트팜을 확대하며 청년농의 창업과 정착을 돕기 위한 기술교육, 창업컨설팅, 자금 지원 등 스마트농업 인프라를 확충하고 있다. 이러한 지원을 통해 청년농은 농업에 대한 진입장벽을 낮추고 스마트팜을 통해 혁신적인 농업 경영을 실현하고 있다.

‘스마트팜’은 자동화 기술과 정보통신 기술을 농업에 접목, 최적의 생육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농산물의 생산성과 품질을 향상시키는 농장을 말하는데 이 때문에 농업 생산성 향상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최근 한국농산업조사연구소의 조사에 따르면 스마트온실을 도입하면 단위 생산량이 32% 증가하고 노동시간은 8% 감소했으며 면적당 농업소득이 46% 증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스마트농업 지원 정책이 실질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음을 입증하는 자료다.

전북도는 청년농의 창업 지원뿐 아니라 그들의 안정적인 정착을 돕기 위해 ‘임대형 스마트팜’ 확충에 힘쓰고 있다. 농지와 초기 자본이 부족한 청년농들을 지원하는 이 제도는 농업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젊은 인재들의 유입을 촉진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전북의 이러한 노력은 전국적으로 인정을 받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가 지난해 시행한 스마트팜 분야 지자체 평가에서 전북도는 광역도 분야에서, 남원시는 시·군 분야에서 우수지자체로 선정되며 전 분야를 석권했다.

그러나 전북이 확고한 스마트농업 중심지로 우뚝 서기 위해서는 앞으로 몇 가지 중요한 과제를 해결해 나가야 한다. 우선 청년농의 지속적인 유입을 위한 스마트팜 인프라 확충과 농업 인큐베이팅 시스템을 강화해야 한다. 이를 통해 농업 경험이 부족한 청년농이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하며 지속 가능한 경영모델을 구축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또한 스마트팜 기술의 고도화와 지역 맞춤형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전북은 기후와 지리적 특성에 맞는 스마트농업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데이터 기반 농업 경영을 해나가야 한다. 이를 위해 민간기업과의 협업 및 연구개발, 투자 확대가 필요하며 청년농과 기술 전문가 간의 교류를 촉진하는 플랫폼도 마련해야 한다.

청년농이 스마트농업을 통해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시장 개척 및 유통 지원도 중요하다. 국내외 판로 개척을 위한 마케팅 지원, 유통 네트워크 강화, 농업 수출 확대를 위한 제도적 뒷받침 등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청년농은 생산뿐 아니라 유통, 판매까지 아우르는 전반적인 농업 경영 역량을 갖출 수 있을 것이다.

전북도가 ‘스마트농업 중심지’로서 확고한 위치를 지키기 위해서는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고 미래 농업을 선도하는 창의적인 정책들을 적극 추진해야 한다. 이를 통해 전북은 가히 대한민국 농업의 중심지로, 청년농의 꿈을 실현하고 글로벌 농업 혁신을 이끄는 ‘대한민국 농샌명산업수도’로 도약할 수 있을 것이다.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