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새만금 고용특구 지정에 사활 걸어라

전북자치도가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다하고 있다. 

특히 새만금개발사업은 그 핵심으로, 국내외 기업들의 이목을 끌면서 대규모 산업 단지와 인프라 구축을 통해 전북 경제의 잠재력을 일깨우는 중요한 역할을 다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발전이 지속 가능하기 위해서는 기업이 필요로 하는 인력 수급과 안정적인 고용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전북도가 이를 위해 추진 중인 ‘새만금 고용특구 지정’은 전북이 기업하기 좋은 지역으로 자리잡기 위한 중요한 발판이 될 수 있다. 이미 ‘기업하기 좋은 도시’로 선정된 바 있는 전북은 이제 새만금 고용특구 지정을 통해 그 입지를 더욱 공고히 다져야 한다. 

전북자치도가 어제 개최한 ‘전북특별법’ 제64조에 따른 새만금 고용특구 지정 발전방향 포럼은 그 의지를 반영하는 사례다. 포럼에는 정책 입안자들과 전문가들이 모여 새만금에서 기업이 필요한 인재를 어떻게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을 지에 대해 심도 깊은 논의를 했다. 그러나 포럼에서만 그칠 게 아니라, 실제로 기업의 요구를 충족시키고 경제 성장을 촉진할 수 있는 정책적 노력이 수반되어야 한다.

우선 새만금 지역의 고용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교육 및 훈련 인프라의 확충이 따라야 한다. 산업의 요구에 맞춘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직업 훈련센터나 고용 지원 센터를 설립, 인재를 양성해야 한다. 

전북도는 현재도 기술 인력을 배출하는 여러 직업 교육 기관이 있지만 이를 새만금 지역에 집중적으로 확대해 기업들이 필요로 하는 인재를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 특히,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적합한 기술력과 창의력을 갖춘 인재 양성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노동시장 유연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근로자의 권리를 보호할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 기업들이 지역에 안착하기 위해서는 안정적이고 예측 가능한 고용 환경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노동법의 유연성을 높이되 근로자의 최소한의 권리와 복지가 보장될 수 있도록 도 차원의 정책적 조정이 필요하다. 

새만금 고용특구가 단순히 일자리 창출에 그치지 않고 지속 가능한 지역 경제 생태계를 조성하는데 기여해야 한다. 기업 유치를 위한 세제 혜택, 규제 완화 등의 단기적 유인책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지역경제는 인력, 자본, 기술이 서로 유기적으로 작용하여 장기적인 경제 성장을 이끌어야 한다. 

전북의 차별화된 도시 브랜드 전략도 필요하다. 기업들은 단순히 세금 혜택이나 규제 완화만으로 지역을 선택하지 않는다. 기업 임직원들이 살기 좋은 도시로서의 매력도 중요한 고려 사항이다. 전북이 추진하는 새만금 고용특구는 전북이 기업하기 좋은 도시로 발전하기 위한 필수적인 정책 수단이다. 

기업과 인재가 모이는 환경을 조성하고 지역 경제 생태계를 강화해 전북의 경제적 자립과 성장을 이끌어낼 수 있는 구체적이고 실효성 있는 정책들이 수반돼야 한다. 이제는 이러한 정책들이 말로만 그칠 게 아니라, 실제로 기업들과 지역민들이 그 혜택을 체감할 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때다.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