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사설] 국민의힘 의원들, 역사의 심판이 두렵지 않나

대한민국 국회는 헌법의 수호자이며 국민의 대의기관이다. 헌법과 법률에 따라 부여된 권한을 충실히 이행하는 것이 국회의원의 의무다. 그러나 지난 윤석열 대통령 탄핵 표결에서 국민의힘 소속 105명의 의원들이 집단적으로 표결에 불참하며 헌정 질서를 수호하라는 국민의 명령을 철저히 외면했다. 이는 역사 앞에서 씻을 수 없는 오점이며,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위기를 자초한 부끄러운 행위다.

윤석열은 그간 헌법과 법률을 위반하고 국정 운영에서 막대한 혼란을 초래했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특히 군대와 공권력을 동원해 국민의 기본권을 억압하고, 국회를 봉쇄하며 헌정 질서를 유린한 행위는 민주공화국의 근간을 흔드는 중대한 내란 범죄다. 8년 전 비선 실세와 국정 농단으로 박근혜 전 대통령이 탄핵된 사례와 비교할 때, 윤석열의 행위는 그 정도가 훨씬 심각한 헌정 파괴로 평가받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민의힘 105명의 의원들은 이러한 행태를 묵인하며 대통령에 대한 탄핵 표결을 거부했다. 이는 헌법적 책무를 방기한 것은 물론, 내란 수괴로 지목받는 대통령과 공생을 택한 명백한 반헌법적 행위요 내란 방조범들이다.

국회의원으로서 헌법을 준수하고 국민의 자유와 복리를 증진하겠다는 선서를 저버린 국민의힘 의원들은 스스로 ‘국민의 적’임을 자인한 셈이다. 특히,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내놓은 담화문은 헌법과 법률적 근거가 전무한 상황에서 ‘질서 있는 퇴진’을 언급하며 제2의 쿠데타를 암시했다는 점에서 충격적이다. 국민의힘은 그동안 윤석열과 야합해 민주주의를 훼손하고 국정을 마비시키며 경제 위기를 심화시키는 데 동조했다. 이러한 행태는 한국 보수정당 역사에서 가장 수치스러운 장면으로 남을 것이다.

국민은 묻고 있다.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당시 보여주었던 보수의 양심과 책임감은 어디로 갔는가? 그때의 보수는 헌법을 수호하고 민주주의를 바로 세우겠다는 결연한 의지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오늘의 국민의힘은 윤석열의 불법적 행위에 동조하며 국민의 뜻을 철저히 외면했다. 이는 헌법 수호 의지가 결여된 정치적 타락이며, 국민에 대한 배신이다. 각자 제 살길만을 찾기 위한 당리당략과 꼼수에 앞서, 지금은 무너진 헌정 질서를 바로잡는 것이 급선무다. 

대한민국의 주권은 국민에게 있다. 국민의 뜻을 무시하고 헌정 질서를 파괴한 윤석열과 이를 방조한 국민의힘은 국민의 심판을 면할 수 없다. 지금의 혼란과 위기를 초래한 이들은 역사의 법정에서 반드시 단죄받아야 한다. 국민은 더 이상 참을 수 없다. 탄핵 표결에 불참한 국민의힘은 이제 국민적 분노의 대상이며 민주주의와 헌법 수호의 대의를 저버린 자들의 말로가 어떠한지를 분명히 보여줄 것이다. 대한민국은 결코 후퇴하지 않는다. 민주주의를 바로 세우고 헌법의 가치를 지키려는 국민의 의지는 그 어느 때보다 절박하고 강력하다. 국민의힘은 탄핵을 거부하며 내란 수괴와 공생을 선택한 자신들의 행동이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 분명히 깨달아야 한다. 역사의 심판은 이미 시작됐으며 국민은 이들을 결코 용서치 않을 것이다.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