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마스크 대란, 현장에 가보라 ①







 이 경 로
 <본지 논설위원 / 반태산작은도서관장>

 
필자는 최근 마스크 공급에 대한 정부 발표를 믿고 읍면의 우체국과 농협 하나로마트를 찾아 마스크를 구입해 보려고 했다. 결과는 완벽한 실패, 약국에 공급한다는 말을 믿고 평소 이용하는 약국에 문의해도 아직 공급이 되지 않아서 판매되지 않는다는 답변이다.


시골 우체국에서만 11시에 판매한다고 해서 조금 일찍 그것도 8시쯤에 가보니 이미 긴 줄이 늘어서 있어서 내 차례가 오기도 전에 판매가 마감될 것 같아 포기하고 돌아왔다. 이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예방을 위한 대책 중의 하나가 마스크 착용이라고 해서 정부의 대책에 순응하기 위해 마스크를 찾았지만, 결과는 구매하지 못했다.


더구나 노약자나 장애인 그리고 힘이 없는 국민은 해당 판매처에 줄서기가 어렵고 몇 시간 전에 나와서 기다려야 하는 체력적인 관계로 포기하기 일쑤이다. 언론 보도에 의하면 마스크를 구매하기 위해 확진 환자가 줄을 서서 기다리고 있었다는 것을 보면 마스크를 통해 감염 예방은커녕 도리어 이를 확산시킬 수 있는 촉매가 될 수 있다는 우려스러움이 있다.


물론 지나치게 마스크 구매에 집착하여 일찍부터 줄을 서서 기다리는 것도 구매를 못 할 수 있다는 것으로 인해 문제를 발생시킬 수도 있으니 매우 안타까운 일이다.


정부는 연일 마스크 대란을 해소하기 위해 애쓰는 것처럼 언론에 보도되고 있지만, 책상머리에서 하는 탁상행정처럼 일선 현장에서의 마스크 구매는 그야말로 하늘의 별 따기만큼 어려운 현실이다.


그것도 수십 장이나 수백 장이 아닌 공적구매의 5장을 구하기가 이렇게 어려운 현실이라고 하면 대체 정부 관계자의 대책은 국민을 우롱하는 처사라고밖에 할 수 없다. 이 정부 관계자가 한번 시골 우체국이나 판매처에 와서 3시간 이상씩 긴 줄을 한번 서보라.


차제에 매점매석하는 악덕상인들에 대한 처벌도 문제다. 약간의 벌금만 내면 빠져나올 수 있다는 심리를 원천적으로 차단해야 한다. 법 규정이 국민 심리에 미치지 못한다면 법을 개정해서라도 이런 악덕 업자들에게 상상 이상으로 처벌 규정을 개정하여 매점매석한 것을 몰수하고 징역 20년 정도를 선고해야 국민감정에 맞을 만하다.


언제까지 얄팍한 수단의 법 테두리 안에서 이들을 놔둬야 하는지 정치인들이 왜 필요하고 법원이 왜 필요한지를 느껴야 하건만 잠시 이 시기만 지나가면 되리라는 생각으로 오늘의 우리 사회가 이렇게 어려움을 당하고 있는 것이다.


항상 모든 사안에 대한 문제는 현장으로 가보지 않고 귀로만 듣고 입으로만 행하는 것이다. 지금 언론이나 SNS 등에는 마스크로 인한 감염 예방의 대책 중의 일환으로 오죽이나 하면 자가로 마스크를 만들고 마스크 재활용이나 리필 마스크를 해도 된다고 하면서 사용방법만 주의하면 된다고 하니 국민은 이제 더 이상 정부 발표에 대한 마스크 대책을 신뢰하지 않을 것이다.


전국의 약국이 네트워크로 되어 있어 실명으로 마스크를 구매하면 될 것 같다는 약사의 주장에 힘입어 이제야 정부 당국자가 이를 검토해 보겠다고 하는 민간차원의 대책이 정부 대책보다 우선한 것을 보면 참 몰라도 너무 모르는 것 같아 다시 한번 안타까울 따름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연일 마스크 대란의 해소를 위해 관계부처 장관을 비롯한 실무진들에게 지시하면서 이를 해소하라고 하지만 역부족인 것 같다. 주말에서 생산량을 늘리기 위해 총력 가동하라고 하고 있는 데 지켜볼 것이다.


그런데도 일반시민들에게 그림의 떡처럼 느껴지는 마스크 대란이 지속된다면 더 이상 정부의 말을 신뢰하지 않을 것이다. 우리나라처럼 잘 갖춰진 지방조직의 주민자치센터(옛 동사무소 등)의 통반장 조직을 활용하면 될 것으로 보이지만 난색을 보인다고 하니 어디가 맞는지 도무지 헷갈릴 따름이다.
 

이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확진자가 5천 명을 넘고 사망자도 계속 발생하고 있을 즈음에 국민이 마스크에 의지하지 말고 개인위생에 철저를 기할 것이며 또 공급도 원활하지 않은 마스크의 보급에 기대를 걸지 않는 것이 상책일 것 같다. < 2편에 계속>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