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도 영
<예원예술대학교 교양학부장/본사 자문위원>
앞서 언급한 여원치 마애불과 연관된 문화유산이 남원시 운봉읍 가산화수길의 사적 제104호 황산대첩비지(荒山大捷碑址)이다. 고려 말에 이성계가 황산에서 왜군을 무지른 사실을 기록한 승전비가 있던 자리이다.
황산대첩은 역사적으로도 매우 유명한 전투로써, 당시의 승리 사실을 영원히 기념하기 위하여 조선 선조 10년(1577)에 이 비를 세우게 되었다.
비석이 처음 세워질 당시에는 비각·별장청 등의 건물을 지어 비석을 보호하도록 하였으나, 1945년 일본인들에 의하여 파괴되어 파편만 남게 되었다.
지금의 비석은 1957년 전북 남원시 운봉면 화수리에 다시 만들어 세운 것이다. 그리고 1973년에 비석이 보관되어 있는 비전·홍살문·삼문·담장, 부속건물들을 새롭게 단장하였다.
황산대첩은 1380년(우왕 6) 9월에 이성계 등이 전라도 지리산 부근 황산에서 왜구에게 크게 이긴 전투이다.
14세기 후반에 극심했던 왜구의 노략질은 1376년 홍산(鴻山, 지금의 부여 지역)에서 최영 장군에게 크게 패한 뒤 한동안 잠잠했으나, 1380년 8월에 500척의 대선단으로 진포(군산시) 금강 어귀에 침입했다.
왜구는 타고 온 배를 밧줄로 단단히 묶어 놓고 상륙하여 충청·전라·경산 3도 연안을 약탈·방화·살륙하였다. 이에 조정에서는 나세를 상원수로, 최무선을 부원수로, 심덕부를 도원수로 하여 하여 왜적을 치도록 하였다.
왜적과의 진포 전투에서 최무선이 만든 신무기인 화포를 처음 사용하여 묶어놓은 적의 함선을 모두 불태워 대승을 거둠으로써 격렬하였던 왜구의 만행에 쐐기를 박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이때 목슴을 건진 360여명의 왜구들은 옥주(지금의 옥천)로 달아나 먼저 상륙한 적들과 합류하였는데, 선박이 소실 당하고 퇴로를 잃게 되자 상주·영동·옥천 등지로 진출하여 약탈을 자행하였다.
이때 상주 방면으로 진출한 왜구의 주력부대는 다시 경산(지금의 성주)을 침략하고 사근내역(지금의 함양)에 집결·반격하여 이 당시 왜구를 추격하던 9원수(백극렴·금용휘·지용기·오언·정지·박수경·배언·도흥·하을지) 가운데 박수경과 배언을 포함하여 500여명의 군사가 전사하였다.
왜구는 계속하여 다음 달인 9월 남원 운봉현을 방화하고, 인월역(지금의 남원 인월면)에 주둔하면서 장차 북상하겠다고 하여 조정을 놀라게 하였다.
한편, 조정에서는 지리산과 해주 방면에서 왜구를 토벌하여 용맹을 떨친 이성계를 양광·전라·경상 삼도도순찰사에 임명하고, 변안열을 체찰사에, 우인열·이원계·박임종·도길부·흥인계·임성미 등을 원수로 삼아 이성계를 도와 왜구 대토벌 작전에 나서게 하였다.
양측은 운봉을 넘어 황산 서북의 정산봉(鼎山峰)에서 치열한 전투를 벌였는데, 적들이 험지에 자리잡고 버티자 죽음을 각오한 이성계가 산 위로 올라가 적을 맞아 싸웠다. 그러자 모든 군사가 총공격을 하여 일대 격전을 벌여 아지발도(阿只拔都)를 두목으로 한 왜구를 크게 물리쳤다.
이때 전사한 왜구의 피로 강이 물들어 6~7일 간이나 물을 먹을 수 없었다고 하며, 포획한 말이 1,600여필이고 병기도 헤아릴 수 없이 많았다고 한다. 처음에는 적군이 아군보다 훨씬 많았으나 겨우 70여 명만이 살아남아 지리산 깊은 곳으로 도망하였다.
이성계의 황산대첩은 최영의 홍산대첩과 함께 왜구 토벌의 일대 전기를 마련한 것이며, 그 후로 왜구의 세력은 약화되고 고려의 왜구 대책은 보다 적극적인 태도를 취할 수 있게 되었다.
(문화재청 자료(호남문화유산 이야기 여행, 2011년)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