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풍작과 풍요를 기원하는 민속놀이, 강강술래


윤 현 정
<예원예술대학교 교수/ 이학박사>
 
대한민국의 남서부 지역에서 널리 행해지는 ‘강강술래’는 풍작과 풍요를 기원하는 풍속의 하나로써 전통적으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세기절기인 설, 대보름, 단오, 백중, 추석에 연행되었으며 특히 한가위 보름달 아래에서 하는 한국의 전통 민속놀이이다.

강강술래는 시골의 일상생활인 쌀농사 문화에서 유래한 중요한 전래 풍습이다. 단순한 음률과 동작 때문에 배우기 쉽고, 여성들이 이웃 여성들과 함께 춤추는 가운데 협동심·평등·우정의 교류를 함께 했다. 해는 남성을 상징하며 달은 여성을 상징하고, 여성의 신체적 특징을 둥근 형태로 표현하므로, 강강술래는 고대의 미학을 반영하는 주술적 성격 가운데서도 모방의 성격을 띠고 있다. 현재 국가무형문화재 제8호로 지정되어 있고, 2009년에 UNESCO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다.
 
강강술래 춤의 이름은 노래의 후렴구에서 따왔지만, 그 정확한 뜻은 알려져 있지 않다. 강강술래나 강강수월래라고 발음하며 强羌水越來로 쓰이는 경우가 있다. 노래(song), 무용(dance), 음악(music)이 삼위일체의 형태로 이루어진 원시종합예술로서 한국 특유의 ballad dance이다.

이 놀이는 밝은 보름달이 뜬 밤에 수십 명의 마을 처녀들이 모여서 손을 맞잡아 둥그렇게 원을 만들어 돌며, 노래를 잘 하는 한 사람이 ‘강강술래’의 앞부분을 선창(先唱)하면 뒷소리를 하는 여러 사람이 이어받아 선후창의 형태로 노래를 부른다. 노랫소리에 맞춰 많은 여성들이 손에 손을 잡고 둥글게 원을 그리며 춤을 춘다. 민요(folklore)와 민속무용(folkdance)이 일체화되며, 거기에 그치지 않고 북이나 장구 등 한국의 전통적인 농악기로 반주를 하여 민속음악(folk music)이 흥을 더한다. 이러한 놀이는 밤새도록 춤을 추면서 계속되며 원무를 도는 도중에 민속놀이를 곁들인다.

춤이 진행되는 막간에는 농촌이나 어촌의 생활을 표현한 놀이가 진행된다. 이들 놀이 가운데는 남생이놀이(한 사람이 원 안으로 들어가 춤을 추면 그 다음 사람도 들어가 앞사람의 흉내를 낸다), 고사리 따기, 청어 엮기, 기와 밟기, 덕석몰이, 쥔쥐새끼놀이(꼬리를 집어 올리기), 문지기놀이, 가마등, 수건돌리기 등 농촌이나 어촌 생활을 장난스럽게 묘사한 놀이를 하는 것이 특징이다.

한국의 전통 사회는 남성 중심이었으며, 젊은 여성들은 큰 소리로 노래를 부르거나 밤에 외출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았다. 하지만 추석이 되면 여성들도 밝은 달밤에 강강술래를 통해 자유롭게 노래를 부르고 춤을 추면서 잠깐이나마 해방감을 느끼며 즐기면서 오랫동안 쌓였던 울분을 토로할 수 있었다. 축제 때는 여성이 평소의 제약을 벗어나 그 분위기를 즐길 수 있었음을 알 수 있는 역사적 증거인 것이다.

강강술래는 또 역사적인 기능을 하기도 했다. 1592년 이순신 장군은 여자들에게 밤에 모닥불을 가운데 두고 강강술래를 하도록 했다고 한다. 멀리서 보았을 때 깜박거리는 그림자 때문에 일본의 왜군은 이순신 장군의 병력을 과대평가했고, 결국 아군이 승리하게 도와주었다. 그리고 가사를 보면 여인의 한 설움과 더불어 현실세태와 정치사회를 풍자·비판하는 내용이 담겨 있기도 하다. 특히 일제강점기 때 쓰인 가사에는 일제에 대한 한국인의 저항 의식을 반영하고 있다.

현재 강강술래는 주로 한반도의 남서쪽 지역에서 널리 행해왔지만 연행되는 지역이 차차 줄어들어 오늘날에는 주로 전라남도의 해남군과 진도군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강강술래는 초저녁에 달이 뜰 때 시작하여 서산에 기울 때까지 여러 장단을 바꿔가면서 계속 놀아질 정도로 흥겹고 또한 역동적이다. 또한 밤을 새워가며 가사를 바꾸어 부르는 노랫말은 여성들의 삶의 애환이 담겨있는 민중의 시로서 매우 문학성이 풍부한 구비문학이기도 하다.

근래에 이르러 예술 치료 요법 분야에서 강강술래의 응용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강강술래는 우울증 등의 정신적인 문제를 보이는 환자에게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기대되고 있다. 그리고 비만 여성의 다이어트를 위한 대체 요법이나, 외로운 노인들의 웰빙을 강화하는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출처 : 《국립무형유산원》 홈피 자료 참조)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