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정 렬
<전) 전주대사대부설고 음악교사/ 현) 전주시음악협회 회장>
코로나19로 인해 전북도내의 모든 대형 축제뿐만 아니라 중소규모의 축제까지 줄줄이 취소되고 있다. 일부 민간에서 비대면 영상으로 대체하는 영상예술문화만 존재할 뿐 관과 연계된 모든 행사가 취소되면서 큰 아쉬움을 남기고 있다.
특히 전북도내에서 대표적인 전국 축제로 이름난 임실N치즈 축제나 익산의 국화축제 및 군산야행을 위한 축제 등이 줄줄이 취소되면서 1년을 기다렸고 준비해온 많은 행사가 아쉽게 도중하차하면서 볼거리 등이 사라졌다.
이곳 전북도는 전국에서도 큰 명성을 차지하는 대규모 축제가 성황리에 개최되면서 100만 명 이상의 관광객들이 내도하여 전북의 위상을 크게 높여 주었다. 여기에 문화뿐만 아니라 예술계의 각종 공연도 함께 취소되거나 연기되면서 전업 예술인들의 생계에도 막대한 타격이 예상된다.
전남도에서는 이러한 사정을 인식하여 전남도내 예술인들에게 재난기금을 선별적으로 주게 되었다. 50여만원을 주는 조건으로 예술인등록이 되어 있는 지역의료보험 가입 예술인에게 주는 것인데 우리 전북도도 한번 생각해 볼 노릇이다.
코로나19로 인하여 사실상 초토화되어 가고 있는 문화예술계의 어려움은 오랜 시간 동안 기다림의 연속이 되면서 관 주도는 사실상 모든 공연이나 전시가 폐쇄되고 민간영역에서 그나마 온라인 등으로 대체하여 공연이나 전시 등의 수순을 밟고 있으니 어찌 힘들지 않겠는가?
사실, 우리가 사는 지구촌의 행복은 즐기는 삶이라는 표현으로 문화와 예술을 통한 감흥적인 세계와의 만남이라도 해도 과언이 아니다. 여기에는 여행을 비롯한 각종 문화적 시스템과 관습이 포함되어 있고 또 눈으로 즐길 수 있는 공연예술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문화예술의 감흥이 코로나19로 막혀 있으니 얼마나 답답한 노릇인가? 결국은 전염병의 원천적인 차단을 위해 사람이 많이 모이는 각종 모임이나 공연 등의 행위를 자제해야 하기 때문에 이러한 일이 발생하곤 한다.
삶의 행복을 가져다주는 문화와 예술의 행위가 인위적인 사람들의 잘못이나 행동으로 인하여 본인 자신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에게도 해악을 끼칠 수 있기에 아무리 좋은 문화 활동이 있더라도 인류의 생존을 위해서는 자제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더구나 우리나라의 수도권이 아닌 지방에서조차 이러한 코로나19의 확산세가 퍼지게 되어 더욱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 지난 상반기의 코로나19를 대비하면서 하반기에는 어느 정도 풀릴 것으로 예상하고 기다렸던 문화예술계의 서러움이 이렇게 다시 물거품이 되면서 진한 아쉬움만 남게 되었다.
전북도내 예로부터 예도(藝道)의 고장으로 알려져 있으며 천년을 이어온 각종 문화와 예술의 향기가 지역주민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전역에 잘 알려진 곳이다. 따라서 관광객들이 많이 찾아와 역사의 향기와 함께 문화의 가치를 즐길 수 있는 지역이다.
물론 코로나19도 인간이 가진 의학의 발달로 곧 종식될 것이다. 하지만 백신이 개발되면서 일상적인 감염인 감기 바이러스처럼 아마 달고 살 것이라는 예상도 있다. 하지만 감염에 대한 기본이 사라지지 않는 한 우리는 경계하고 조심해야 할 필요가 있기에 오늘 문화예술계의 전시와 공연도 자제하고 있다.
전북의 문화예술이 이번 코로나19 확산세로 움츠려서는 안 될 것이다. 각종 축제가 취소되고 있지만, 이는 어디까지만 최근의 상황일 뿐이다. 이제 다시 문화예술계가 기지개를 켤 때는 좀 더 높은 역량의 고품위다운 활동이 전개될 것이다.
잠깐 취소되거나 연기될 뿐 전북도내 문화예술인들의 역량은 이번 기회에 더욱 알찬 기본기를 갖게 될 것이다.
바라옵건대 전북지역의 민간영역에서는 더욱더 활발한 활동을 기대해 본다. 밖으로 내보이는 것은 힘들겠지만 온라인 활동을 통해 기량을 더욱더 뽐낼 수 있는 문화예술의 기본을 갖추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