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정 렬
<전) 전주대사대부설고 음악교사 /현) 전주시음악협회 회장>
바야흐로 가을이다. 여름의 뜨거웠던 햇빛이 코로나19로 생각하지 못하는 사이에 지난 것 같다. 기상청에서는 올해 여름이 가장 폭염에 시달릴 것이다는 전망을 내놓았지만 웬걸 뜨거움을 느끼기도 전에 성큼 가을이 다가왔다.
벌써 아침과 저녁의 일교차 매우 벌어져서 감기를 조심해야 함에도 코로나19로 인하여 감기는 명함도 못 내밀 태세이다. 또한 독감 예방을 위해 사전 접종을 해야 하는데 예방백신에 대하여 상온에 노출되는 배달업체의 실수로 이 또한 연기된 상태이다.
가을은 천고마비의 계절이면서 살찌는 계절이고 또한 청정한 하늘을 바라보면서 결실을 맺는다는 속설이 있다. 추석이 지나갔지만, 아직도 들녘에는 벼 베기가 한창이고 햇과일과 햇곡식에 대한 선호도가 있어서 출하를 기다리고 있는 계절이다.
하지만 낙엽이 떨어지는 쓸쓸함을 상징하는 것도 가을이고 보면 낭만을 즐기면서 찬바람에 옷깃을 여미는 계절이기도 하다.
우리나라의 봄과 여름이 아열대 기후로 변모하면서 그동안 분기 단위인 3개월에 걸친 계절의 변화를 누렸지만, 이제는 아주 짧은 봄과 여름이 되었고 아직도 한 낮에는 기온이 매우 올라 선풍기를 켜야 할 정도이다.
그리고 밤에는 약간의 추위를 느껴 벌써 난로를 꺼내야 하는 집들도 있다. 특히 산간지방의 추위는 가을을 무색하게 일찍 찾아오기에 동절기를 대비하는 살림살이가 바로 이 시기쯤인 것 같기도 하다.
사람이 먹고만 살 수 없는 일이기에 일상적인 생활과 함께 즐기는 것이 삶의 가치일 것이다. 때로는 자신과 함께 할 수 있는 가족이나 주변인들과 함께 여행을 떠난다든지 또는 낭만의 추억을 되새기면서 문화와 예술을 감미한다든지 하는 것의 우선적인 삶의 여정을 느낄 수 있는 것이 가을이기도 하다.
우리나라는 전 국토의 70% 이상이 산지로 되어 있다. 특히 전라북도는 국립공원이 내장산, 덕유산, 지리산, 내변산으로 전국의 어느 지역보다 많은 산으로 둘러싸여 있다. 가을에는 이런 산등선에서 단풍이 물들어 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생활이 바빠서 여유가 없어 그동안 둘러보지 못했던 우리 지역의 산야를 이번 기회를 통해 둘러보는 것도 좋으련만 이 코로나19로 인하여 주춤할 수밖에 없는 것이 안타까울 따름이다. 어서 예전의 활기를 찾을 수 있는 날이 오기를 고대하기만 한다.
가을하늘의 청정함은 맑고 고운 생각을 하게 한다. 하늘은 높다고 하는 말이 계절에 따른 구름의 변화인지 몰라도 어느 때는 구름이 높게 올라가면서 오묘한 모양의 틀을 만들어 감탄을 자아내게 한다.
더구나 해 질 무렵 노을이 비치는 곳의 구름이 닿는 가을하늘은 절정의 빨간 노을과 어울려 탄복을 하게 된다. 산뿐 아니라 바닷가의 해 질 무렵은 더욱더 낭만 일번지의 추억을 되새기게 한다.
여기에 숨결 어린 노랫가락이 빠질 수 있으랴?
학창 시절 음악 교과서를 통해 배웠고 교사 시절 음악 교과서를 통해 학생들을 가르치면서 이제는 추억의 그늘에서 예전의 모습을 떠올리는데 노랫가락만큼 어울림이 가득한 것은 없을 것으로 생각한다.
또한 가을은 풍성함의 대명사일 것이다. 그야말로 농번기의 바쁜 일상의 보람을 찾는 자연의 섭리에 감사하면서 최고의 기쁨을 가져다주는 것이 바로 가을철에 맺는 수확의 기쁨일 것이다. 자연에서 얻는 수확뿐만 아니라 인생에서 함께 할 수 있는 주변의 많은 지인과 마음 밭을 일구는 수확 역시 인생의 보람을 안겨주고 있다.
1년의 단위를 묶어 해년마다 순환적 의미로 다가오는 계절의 변화는 계절별로 느낌이 다르고, 생각도 다를 것이다. 봄의 전령을 가져다주는 꽃들의 잔치를 생각하면서 여름의 휴식과 가을의 풍성함으로 인해 다가올 겨울의 한파를 이겨내면서 인생의 한파도 함께 이길 수 있는 이 가을이 참 좋은 계절로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