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술과 사회적 정서의 사이에서

문 성 필
<㈜엄지식품 연구주임>
 
최근 일명 윤창호법이 시행되면서 우리 사회에서 일어나는 많은 사건·사고에 술로 인한 것들이 참 많다. 사건 이후 법에서도 술로 인하여 발생한 것이고 해당 피의자가 술에 취해 전혀 생각이 나지 않는다고 발뺌하면 형이 감경되는 것처럼 보도되고 있다.

하지만 술을 먹고 적발되는 음주운전을 제외하면 강력범죄에서부터 간단한 경범죄라고 하더라도 술이 사람을 잡는다는 말처럼 관대한 것이 지금 우리 사회의 현실이며 법체계이다.

음주운전은 살인예비 행위와 마찬가지이지만 아직도 술 먹고 운전하는 간 큰 사람이 적발되는 것을 보면 남의 일처럼 보이질 않는다. 주차된 차들 무차별하게 부딪히고 지나간 사람을 붙잡고 보니 음주운전이고 교통사고를 유발하여 죽음에 이르게 한 사람들 대부분이 음주 운전자들로 밝혀지면서 술에 대한 심각성을 알게 된다.

적당한 음주는 건강에 도움이 될 수도 있고 용기 없던 자신이 술의 힘을 빌려 할 말을 하기도 한다. 또한 기름진 음식에서의 술은 적당하게 즐길 수 있는 문화의 한 축으로 자리를 잡아 식당에서는 당연하게 술을 주문하길 바라며 술로 인하여 매상을 올리는 경우가 많다.

고대사회에서도 당시의 사람들은 주막(酒幕)이라고 하여 간단하게 하룻밤을 지내면서 고기와 밥을 먹으면서 반드시 술을 곁들이는 것이 예삿일로 되어 있다.

우리와는 다른 문화와 생각일지 몰라도 세계 각국에서도 고대 시대에서부터 술을 즐겨 먹었던 사회풍습이 있었듯이 우리나라도 막걸리라고 표현하는 막걸리를 즐겨 먹었다. 소위 청주(淸酒)는 지체 높으신 분들의 전유물이었을 뿐이지 막걸리는 우리 사회 민중들의 애환을 녹여준 기쁨과 슬픔의 산실이었다.

하지만 어느 때부터인가 우리는 ‘술을 코가 비뚤어지도록 먹는다.’라는 표현이 나올 정도로 술 문화에 대하여 비정서적으로 발달하기 시작했다.
물론 청소년들에게 술을 팔지 못하도록 법규가 제정되었지만, 과거에는 이마저도 없어서 돈만 있으면 술을 살 수 있었고 무한대로 술을 먹을 수 있었다. 자신의 몸이야 어떻게 망가져도 술로 인해 슬픔을 이기고 이를 해결 할 수 있는 가장 좋은 수단으로 술을 이용했다.

술은 세계 어느 나라에 가서도 즐길 수 있는 보편적이며 같은 나라에서도 술을 만드는 재료와 방법이 다 독특하고 달라서 이를 개방하고 허용하는 것 같다.

그런데 현대사회에서는 술로 인한 폐해가 대단히 크다. 그냥 피해가 아니라 폐해라고 불릴 수 있다. 과거 가족 간의 시대에서는 아버지가 약주를 먹고 늦게 귀가하면 부인이나 자식들이 아버지의 술 마감을 하곤 하였다.
하지만 지금 사회는 소가족시대이며 혼집세대가 많아지면서 이러한 술 취함으로 인해 자신이 겪는 고통은 이루 말할 수 없고 심지어는 죽음에 이르게 하기도 한다.

술에 취해 길바닥에 엎드려져 있다가 겨울철 동사하는 경우와 차도에 누워있다가 비명횡사하는 경우, 그리고 술에 취해 분간을 못 하다가 난간에 떨어져 죽는 경우, 화재 사고로 인해 감당하지 못해 그대로 질식해서 죽는 경우 등 술 취함으로 인해 겪는 현대인의 비극이 잠깐은 행복할지 모르나 구만리 인생은 이미 황천길에 이를 가능성이 많은 것이다.

그놈의 술, ‘술이 원수’라고 하면서 치를 떠는 사람들이 있다. 일명 주사(酒邪)파들에게 이른 말이다. 술만 먹으면 정신없이 행동하고 폭력을 일삼으면서 술에서 깨면 전혀 기억이 없다는 사람들이다.
필름이 끊어졌다고 하는 핑계 말이다. 이제 술로 인한 폐해는 없어져야 한다. 술을 과도하게 먹는 것 자체가 자신이 책임질 사항을 위반했고 술 먹고 기억이 나지 않는다고 관대하게 처벌하는 것은 법 상식상 안 될 말이다.

다시 생각해보자. 적당한 술이라고 하지만 우리나라처럼 자유롭게 음주문화를 즐길 수 있는 나라가 흔하지는 않다. 특히 종교적 계율을 가진 중동아랍국가에서의 술은 법으로도 엄격하게 통제되어 있다.

하지만 법이 문제가 아니라 우리의 사회적 인식이 술을 먹고 다른 사람들에게 피해를 줘서는 안 된다는 깊은 사고에 따라 술 문화에 대한 전향적인 입장이 지속될 것으로 본다.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