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얼마 전 한적한 길을 운전하며 가다 개와 산책하는 노년 남성을 만났다. 평화로운 풍경이다. 그런데 점점 가까워지며 티셔츠 등에 ‘자유통일’이라는 문구를 보는 순간 마음이 흔들렸다. 자유통일? 평화통일이나 남북통일도 아니고 자유통일이라니, 갸우뚱할 때 그를 지나쳤고 반사적으로 고개를 돌려 그의 앞모습을 보았다. 짧은 순간이었지만 60대 후반이라는 것과 티셔츠 가슴 왼편에 ‘광화문 온’이라는 글자를 읽을 수 있었다.
순간 광화문 태극기가 떠오르고 동시에 심장 박동이 빨라지며 온갖 불쾌한 감정이 밀려들었다. 멀리서 보았을 때 흐뭇하고 평화로웠던 마음이 왜 ‘자유통일’과 ‘광화문 온’이라는 여덟 글자에 정반대의 마음이 된 것일까. 돌아오는 내내 그가 특별히 이상행동을 한 것도 아닌데 왜 나는 그 글자 몇 개에 그렇게 기묘한 흥분 상태에 빠진 것일까 곰곰이 생각했다. 광화문이나 이태원 근처가 아니라 내 동네의 한적한 길이어서 놀라웠다 해도 티셔츠 한 장으로 사람을 달리 보다니, 괴물을 잡으려다 괴물이 된다고 어쩌면 나도 혐오라는 못된 놈에게 사로잡힌 것은 아닐까 소름이 끼쳤다.
집에 돌아와 ‘광화문 온’을 검색하니 대국본이라는 ‘광화문 온(ON)’과 행정안전부가 운영하는 온라인 국민참여플랫폼 ‘온(ON) 국민소통’이 뜨고 ‘자유통일’을 검색하니 전광훈씨가 대표라는 자유통일당이 뜬다. ‘온 국민소통’은 문재인 정부가 인수위 시절부터 운영한 정책제안 플랫폼인 ‘광화문 1번가’의 후신이다. ‘광화문 온’과 ‘온 국민소통’, 어느 게 먼저인지는 모르겠지만 언뜻 서로 연결되어 있는 듯한 인상을 받았다. 솔직히 ‘온 국민소통’의 존재에 대해 처음 아는 것이기도 했다. 정부의 온갖 태도를 보면 그들이 소통하고자 하는 국민이 누구인가 싶지만 그만큼 나도 정부에 무관심했다는 뜻이리라.
어느 정부가 들어서든 진보진영의 목소리는 늘 크고 시끄러울 수밖에 없다. 제 손으로 극적으로 뽑고도 감시하는 일을 사명으로 삼았을 정도니 말해 무엇하랴. 보수정부에서는 그런데 말입니다! 하고 손을 드는 것과 동시에 언론과 사정기관이 달려들어 사상검증에 신상 털기, 그도 모자라 밥줄 끊기를 했으므로 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전해지기도 전에 재갈이 물리고 포박당해야 했다. 그러나 보수, 극우적인 목소리는 정부의 성격에 따라 굴곡이 커서 묵인과 조장이 느껴지면 헌법이 보장하는 표현의 자유라는, 피로써 얻어낸 열매를 온갖 혐오와 증오로, 자신의 정치적 경제적 이익을 위해 선택적으로 휘둘러 왔고 지금 최고조에 이르렀다.
경제 양극화든 정치 양극화든 양극으로 치닫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그러나 경제 양극화는 점점 심화되고 정치적으로는 내전 상태에 가깝다. 정부는 통합은 수사로도 찾아보기 어려울 만큼 드러내놓고 국민을 갈라치기 하고 양극단을 조장한다. 국익과 민족적 자존심을 내팽개치고 법치를 유린하는 정부와, 이를 비판하는 목소리를 용공시하는 구시대적 행태를 지켜보는 것은 세월호 침몰을 생방송으로 지켜보던 때의 절망감 그 이상이다. 전 국민이 침몰하는 세월호에 갇히고 이태원 좁은 골목에 갇혀 있는 느낌이다.
바닷물이 오염되고 결국 인간뿐만 아니라 지구에 살아가는 모든 생명체에게 재앙이 될 것이 뻔한 후쿠시마 핵폐수 불법투기에 굴욕적인 협조를 다하는 정부를 지켜보는 국민의 마음을 뭐라 표현할 수 있을까. 내 나라의 절규하는 노동자와 어민들은 때려잡을 떼쟁이 취급하며 남의 나라 변호와 남의 나라 기업 걱정하기 바쁜 정부, 기후위기의 재앙은 현실화되어 일상을 무너뜨리고 있음에도 성찰은 커녕 당대에 모든 것을 끝장낼 것처럼 구는 정치인들에게 나와 내 가족의 생명을 맡겨야 하는 신세가 가련하다. 금도를 넘어 침몰하는 대한민국, 기후위기로 침몰하는 지구를 생중계로 지켜보는 이 모든 것이 마치 ‘젠가 게임’을 보는 듯 아슬아슬하다.
‘산호초를 따라서’(CHASING CORAL, 2017, 제프 올롭스키)라는 다큐멘터리는 바다가 병들면 지구도 무사하지 못할 것이라는, 지극히 당연한 명제를 알리기 위해 몇 달간 산호초 백화현상을 기록한 작품이다. 화석연료가 뿜어내는 이산화탄소로 대기층에 갇힌 열의 대부분이 바다로 흡수되기에 바다는 수온이 상승하고 해양생물들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자신에게 적합한 환경의 서식지를 만들 줄 아는 산호는 열에서 스스로를 지키기 위해 자외선 차단제를 만들어 아름다운 형광산호로 변하지만 이는 생장이 멈춰 죽음에 가까운 상태라고 한다. 다큐는 상황이 개선되지 않아 한두 달 만에 죽어가는 호주의 그레이트배리어리프의 끔찍한 학살현장을 고발한다. 시커멓게 죽은 조류만 나풀거리는 산호초 주변에 더 이상 물고기는 보이지 않고 골격만 남은 산호초 무덤은 마치 폭탄이 투하된 전쟁터나 원폭으로 폐허가 된 모습을 연상시킨다.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