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upload/1702972980321735211.jpg)
절대다수의 한국인들은 강요된 이기주의자 혹은 수동적 이기주의자다. 즉 이기적으로 사는 것이 즐겁고 행복해서 자발적으로 이기주의자가 된 것이 아니라 고립적 생존 불안으로 인해 어쩔 수 없이 이기주의자가 된 사람들이다. 평범한 사람들한테 어느 정도로 돈을 벌고 싶냐고 물어보면, “돈을 엄청 벌어 대저택을 사고 기어이 수영장을 만들겠다”거나 “돈을 많이 벌어 외제차와 명품에 묻혀 살고 싶다.”고 말하는 이들은 거의 없다. 그들은 대부분 먹고 사는 걱정 안 해도 괜찮을 정도만 벌었으면 좋겠다고 말한다. 한마디로 생존 불안에서 벗어날 수 있기를 바란다는 것이다.
생존 불안으로 인해 이기주의자가 된 사람들은 기본소득으로 인해 그 불안에서 해방되면 이웃들과 잔혹한 서열 경쟁을 해야 하는 비인간적인 삶을 거부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생존 불안에서 벗어난 대부분의 사람들은 잔인한 서열 경쟁을 거부할 것이라는 말이다. 생존 불안에서 해방된 절대다수의 사람들은 “이만하면 됐다. 이제 그만하자. 그만 싸우자”라고 말하면서 잔인한 서열 경쟁을 거부할 것이다. 이것은 이기적인 검투사의 삶에서 벗어나 사람다운 삶으로 방향을 전환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기본소득은 사람들을 단지 생존 불안에서만 해방하는 것이 아니라 존중 불안도 크게 약화시킬 것이다. 기본소득으로 인해 돈에 대한 병적인 욕망이 약화되면 돈을 중심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돈 중심 세계관이 약화될 것이고 그 결과 돈으로 사람의 가치를 평가하는 병적인 풍조가 바뀌게 될 것이다.
사람들이 존중 불안에 시달리는 주요한 원인 중의 하나는 한국 사회가 사람의 가치를 돈으로 평가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기본소득으로 인해 돈에 대한 욕망과 돈 중심 세계관이 약화되면 다수의 사람들은 사람의 가치를 돈이 아닌 사회에 기여하는 정도, 도덕성, 인격 수준 등으로 평가하게 될 것이다. 사람의 가치가 사회적 기여도에 의해 평가되면 존중 불안 문제는 해결된다. 사회 혹은 공동체를 위해 헌신하는 훌륭한 사람들은 사회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는다 하더라도 졸부들처럼 타인들을 차별하거나 깔보지 않는다. 사람들은 그들이 사회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는 것을 환영하며 그들처럼 훌륭한 사람이 되기 위해 노력한다. 한마디로 사람의 가치를 평가하는 기준이 제자리를 잡으면 존중 불안 문제가 제기되지 않으며, 사람들 속에서 훌륭한 사람이 되려는 건전한 욕망을 촉발한다는 것이다.
돈에 대한 욕망과 돈 중심 세계관이 약화되면 돈과 서열을 악용해 병적인 욕망을 충족시키는 것이 어려워진다. 마음이 병든 사람들은 건전한 인간관계와 공동체 속에서만 가능한 진정한 기쁨과 행복을 알지 못한다. 그들이 알고 있고 누릴 수 있는 것은 병적인 쾌감뿐이다. 이로부터 마음이 병든 사람들은 돈과 서열을 악용해 병적인 지배통제욕, 학대욕, 과시욕, 우월욕, 인정욕 등을 충족시키는 것에 목을 매는 정신병적 쾌감의 중독자가 된다. 그러나 다수의 사람들이 돈에 대한 욕망에서 해방되면 병적인 쾌감을 맛보기가 어려워진다. 돈 자랑은 돈에 대한 욕망이 강한 사람, 돈 많은 사람을 부러워하거나 높게 평가하는 사람한테나 효과가 있지 그렇지 않은 사람에게는 효과가 없을 뿐만 아니라 부정적인 반응을 초래하기 십상이기 때문이다. 기본소득은 궁극적으로 마음이 병든 사람들에게서조차 서열 경쟁의 동기를 약화시킬 것이다.
지금까지 살펴보았듯이, 기본소득은 고립적 생존 불안만이 아니라 존중 불안까지 큰 폭으로 약화시킴으로써 절대다수의 한국인들을 이기주의와 돈에 대한 병적인 욕망에서 해방시킬 것이다. 사람들은 개인이라는 울타리에서 벗어나 다시금 이웃의 손을 잡을 것이고 공동체를 복원해나가면서 새로운 세상을 꿈꾸게 될 것이다. 기본소득은 한국인들을 신자유주의가 강요한 각자도생의 생존 철학에 등을 돌리게 만들 것이다. 각자가 치열한 개인 간 서열 경쟁, 개인 간 전쟁을 통해서 생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아니라 모두가 힘을 합쳐 사회를 개혁함으로써 생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길, 인간의 길이 있다는 깨달음을 줄 것이고, 나아가 대동세상이라는 공동의 목표 아래 힘차게 연대하고 단결하게 해줄 것이다.
국민들이 다시 하나로 뭉치기만 한다면 그 어떤 일이든 해낼 수 있다. 기본소득은 사회 대개혁으로 나아가는 시대를 열 것이다. 기본소득이 최우선적 개혁과제가 되어야 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