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upload/1703758920321740181.jpg)
몇 달 전 <매불쇼>에서 나는 프란스 드 발의 책 ‘침팬지 폴리틱스’에 기대면 윤석열 대통령의 말과 행동을 그럴듯하게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최근 노무현재단 후원회원의 날 행사에서는 드 발의 후속작 ‘차이에 관한 생각’ 제9장을 원용해 윤석열 대통령의 정치적 말로가 비참하리라 예측했다. 일부 ‘친윤’ 정치인과 ‘친윤’ 언론인들은 사회생물학 이론을 활용해 정치를 분석한 것을 윤석열 대통령과 국힘당에 대한 비하행위로 받아들이는 듯하다. 대통령을 침팬지 수준으로 깎아내려 조롱했다는 것이다.
오해를 거두시라. 그런 뜻이 아니었다. 프란스 드 발은 호모 사피엔스를 침팬지 수준으로 비하하려고 “권력투쟁은 진화의 산물이며 정치는 인류 역사보다 오래되었다”고 주장한 게 아니었다. 인간의 정치행위와 침팬지의 권력투쟁을 공통의 생물학적 기초 위에서 설명했을 뿐이다. 나도 그와 같다. 드 발의 연구를 포함한 사회생물학의 여러 이론에 비추어 윤석열 대통령의 언행을 설명하고 그의 정치적 미래를 예측했을 따름이다. 최근 상황을 반영해 다시 요약 정리할 테니 더는 오해하지 말기 바란다.
널리 쓰는 정의(定義)에 따르면 사회생물학은 ‘동물의 사회성 행동을 생물학적 측면에서 연구하는 학문’이다. 우리 호모 사피엔스는 벌과 개미 같은 ‘막시류’ 곤충이나 침팬지를 비롯한 ‘영장류’ 동물처럼 군집을 이루어 산다. 먹이 획득과 자녀 양육을 위해 여러 세대가 함께 거주하면서 분업하고 협업한다. 사회생물학의 기본 전제인 다윈주의(Darwinism) 이론에 따르면 인간 군집에서 사회성 행동이 진화한 것은 생존과 번식의 확률을 높여주는 ‘적응의 이익’이 있었기 때문이다. 다윈주의는 인간을 예외로 취급하지 않는다. 호모 사피엔스도 다른 종과 마찬가지이므로 진화의 도정에서 나타난 종으로 여긴다. 인간의 사회성 행동에도 자연선택을 통해 진화한 생물학적 기초가 있다고 믿는다.
인간의 사회성 행동은 매우 다양하지만 특정한 기준을 세우면 몇 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예컨대 윤리학자 피터 싱어는 ‘다윈주의 좌파’라는 책에서 사회성 행동의 유형을 셋으로 나누었다. 생산방식과 경제체제와 정부형태 같은 것은 문화마다 크게 다르다. 이런 것은 짧은 역사의 시간에 자주 바뀌었기 때문에 진화와는 직접 관련이 없다고 보는 게 타당하다. 성도덕과 인종주의는 문화에 따라 약간 차이가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는 생물학적 기초와 관련이 있다고 추정한다. 사회적 위계와 서열을 형성하는 것은 모든 문화에 공통적이니 호모 사피엔스라는 종의 특성으로 본다. 유전적 생물학적 기초가 확실히 존재한다는 말이다.
싱어는 사회를 바꾸려고 노력하는 ‘좌파’들에게, 모든 문화에 보편적으로 존재하는 것보다는 문화에 따라 많이 다른 것에 집중하라고 권했다. 인류에게 생물학적으로 주어진 것을 없애려고 하는 개혁은 실패할 가능성이 크고, 일시 성공하는 것처럼 보인다 해도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켜 결국 무위로 돌아간다는 것이 싱어의 주장이었다.
위계와 서열을 형성하는 종이 호모 사피엔스뿐인 것은 아니다. 침팬지 군집에도 거의 비슷한 행동이 진화했다. ‘침팬지 폴리틱스’는 네덜란드 아른험 동물원의 침팬지 무리 관찰기록을 정리한 책이다. 침팬지를 연구해 인간 이해를 증진했다는 평가를 받은 이 책의 핵심은 알파 메일(alpha male, 수컷 우두머리) 침팬지의 ‘보안관 행동’에 대한 서술이다.
드 발은 동물원의 모든 침팬지에게 이름을 붙이고 수컷 네 마리가 벌인 권력투쟁의 과정과 결말을 특히 세세하게 관찰하고 기록하고 분석했다. 그가 연구자로서 본 첫 번째 알파 메일 이에룬을 밀어내고 권좌를 차지한 두 번째 알파 메일 라윗의 행동이 흥미로웠다. 알파 메일이 되기 전 라윗은 다른 침팬지들의 다툼에 개입할 때 35퍼센트의 확률로 약자 편을 들었다. 그런데 왕좌를 차지한 뒤 이 수치는 69퍼센트로 늘었고 1년이 지나자 86퍼센트까지 올라갔다.
젊은 수컷 니키는 늙은 수컷 이에룬과 연합해 세 번째 알파 메일 자리에 오르는 과정에서 잔인한 유혈사태를 일으켰다. 라윗의 손발과 고환을 물어뜯어 죽인 것이다. 그런데 니키는 라윗과 달리 권좌를 차지하고 나서도 보안관 행동을 하지 않았다. 약자를 편들어 개입하는 비율이 22퍼센트에 지나지 않았다. 분쟁 당사자 가운데 더 센 침팬지를 편드는 경우가 더 많았다. 얼마 지나지 않아 이에룬과 더 젊은 수컷 단디가 니키를 공격했다. 니키는 급하게 도망치다가 사육장을 둘러싼 수로에 빠져 죽었다. 이에룬과 니키가 셋만 있었을 때 라윗을 공격했던 것과 달리, 단디와 이에룬은 무리가 지켜보는 가운데 니키를 공격했다.<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