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나라 망치는 한국 지배층의 광신적 사대주의(1)

사대주의란 강대국을 떠받들고 숭배하는 굴종 사상이다. 사대주의에 물들면 강대국을 맹목적으로 추종하게 된다. 예를 들어 미국이 신자유주의를 하면 한국도 신자유주의를 하고 미국이 가치 외교를 하면 한국도 가치 외교를 하는 식이다.
사대주의는 자기 나라, 자기 민족을 불신하고 깔보는 민족허무주의 사상과 통한다. 사대주의는 자기 나라와 민족의 이익을 배반하는 매국배족 행위로 귀결된다는 말이다. 민족허무주의에 물들면 스스로를 불신하면서 강대국만 쳐다보는 무력하고 의존적인 인간으로 전락한다. 임진왜란 시기에 사대주의에 물들어 있던 조선의 지배층은 자기 민족의 힘을 믿지 못하여 자력으로는 일본을 이길 수 없다면서 명나라만 쳐다봤다.
사대주의는 일반 백성들의 것이 아니라 반민중적 정치를 하는 지배층의 전유물이다. 백성을 억압하고 수탈하는 반민중적 지배층은 백성들로부터는 정권 안보를 보장받을 수 없다. 백성을 믿기는커녕 두려워하니 강대국으로부터 정권 안보를 보장받으려고 한다. 쉽게 말해 백성들이 봉기나 반란을 일으킬까 두려워 강대국에게 자기들을 지켜달라고 매달린다는 것이다. 원래 사대주의는 반민중적 지배층에게 고유한 것이지만 그들의 지배가 장기화될 경우에는 다수의 사람들이 사대주의에 물들 수 있다. 일제 강점기를 제외하더라도 해방 이후부터 70여 년이 넘는 기간 동안 미국을 떠받드는 사대주의자들이 한국을 지배해 왔기에 오늘날의 한국 사회에는 미국에 대한 사대주의가 널리 퍼져 있다.
특정한 사회집단만이 아니라 개인들도 사대에 물들 수 있는데, 그것을 의존성이라고 한다. 개인심리 차원에서의 의존성은 대체로 어린 시절에 자신감을 발달시키지 못한 것과 관련이 있다. 예를 들면 지나치게 엄격한 부모의 훈육으로 인해 아이가 자기를 믿지 못하게 되어 부모나 타인들에게 의존하게 되고 그것이 체질화하는 것이다. 자기를 믿지 못하는 의존적인 사람은 자기 머리로 사고하고 판단하는 것을 어려워하고 두려워한다. 그래서 매사를 의존 대상에게 물어보고 그의 지시를 받아 행동해야만 안심하며, 어려운 일이라도 생길라치면 의존 대상에게 조르르 달려가 매달린다.
개인이 사대주의를 하면 단지 그 개인의 정신과 삶만 망가지지만 국가의 지배층이 사대주의를 하면 국민들의 정신이 파괴되고 나라가 망하는 등의 심각한 결과가 초래된다. 사대주의적 지배층의 유일한 관심사는 정권 안보와 부귀영화이기에 그것을 위해서라면 그들은 거리낌 없이 나라와 민족을 팔아먹거나 배신하기 때문이다.
한국의 지배층은 극우 파시스트 집단인 동시에 지독한 사대주의 집단이다. 전통적으로 서구 사회에서 극우세력은 사대주의가 아닌 민족주의와 한몸이었다. 자본주의 국가의 지배층인 독점자본가계급은 당연히 자기 나라 독점자본가계급의 이익을 대변한다. 예를 들어 영국의 독점자본가계급은 영국의 독점자본을 대변하고 독일의 독점자본가계급은 독일의 자본을 대변한다는 것이다. 독점자본가계급은 이윤 추구가 어려워지면 사회를 파쇼화하면서 이념적으로 극우화한다. 극우화한 독점자본가계급은 민족주의를 내세우면서 다른 국가나 민족을 배척하고 침략한다. 2차 세계대전을 전후한 시기의 독일과 일본을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 이처럼 각국의 독점자본가계급은 자국의 독점자본을 대변하기 때문에 사대주의가 아닌 민족주의이런 독점자본가들의 이익을 위한 민족주의를 올바른 민족주의와 구분하기 위해 부르조아 민족주의라고 부른다- 성향이 강하다.
한국의 극우세력은 왜 서구 나라들과는 달리 민족주의가 아닌 사대주의에 물들었을까? 한국은 자본주의가 성장하면서 가장 힘 있고 돈 있는 사회집단이 된 독점자본가계급이 국가를 장악하는 정상적인 자본주의의 발전경로를 밟아오지 않았다. 한국은 일본의 식민통치로 인해 아예 독점자본가계급이 형성될 수 없었기 때문에 해방 이후 한국에서는 독점자본가계급이 아닌 미군이 국가를 장악했다. 한국을 점령한 미군은 한국 땅에 한국의 독점자본을 대변하는 정치세력이 아닌 미국의 이익,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미국의 독점자본을 대변하는 하수인으로 써먹기 위해서 매국적 정치세력을 키웠다. 이런 비극적인 역사는 한국에서의 정치엘리트의 탄생이 민족주의와는 아무런 인연도 없는 반면 사대주의와는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소위 적폐세력이라고 불리기도 하는 한국의 지배층은 극우 집단인 동시에 사대주의 집단이다. 원래는 대척점에 있어야 마땅한 극우와 사대주의를 한몸에 품고 있는 한국의 극우사대주의 세력은 일본의 식민지배와 미완의 해방이 만들어낸 기형적 괴물이다.
원칙적으로 사대주의자는 개인적 이익 때문에 사대주의를 한다. 개인적 이익을 위해서 사대주의를 한다는 점에서 사대주의자는 합리적이라고 말할 수 있다.<계속>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