둘째, 비판과 성찰이다. ‘국민의힘’(정당)과 그 대통령은 오로지 선거에서 이기기 내지 민주당 발목잡기에 올인하는 인상을 준다. 대통령은 ‘본부장’ 문제로 입장이 난처해지자 이명박 꼴이 될까 ‘뒷일’이 무서워 나중에 죽지 않을 길만 모색하는 경향성도 있다. ‘국민의힘’이라는 정당 이름이 무색할 정도로, 국힘당은 특히, 경제성장이 정체하고 사회경제 불평등이나 기후위기 등이 가속화하는 복합위기 상황에 대한 비판적 성찰이 없다. 경제성장만 하면 불평등이 완화되거나 기후위기를 해결할 수 있다는 이론적 근거도, 실제 사례도 없는데 성장 중독에 빠져 있다. 그저 과거의 호시절만 회상하면서 그런 황금기가 다시 올 것처럼 착각하거나 허위의식을 언론에 유포한다. 그러나 지금 필요한 것은 예전에 옳다고 믿었던 이론과 입장을 철저히 비판하고 성찰하는 것이다. 자본주의가 영원할 것 같지만, 마치 노예제나 봉건제가 사라진 것처럼 자본주의도 종말이 온다. 왜 그런지 성찰하고 파국과 재앙이 닥치기 전에 현명한 대비를 하는 것이 옳다. 그것이 국민을 위하는 길이고 국민에게 힘을 주는 자세다. 셋째, 변화와 혁신이다. 정당의 존재 이유가 있다면 연약한 개인이 할 수 없는 일을 제대로 해내는 것이다. ‘국민의힘’이란 이름을 단 정당이라면 대다수 국민들의 소망을 앞장서서 구현하려 노력해야 마땅하다. 물론 이 정당의 근본 정체성이 권력과 돈임은 삼척동자도 잘 안다. 이런 면에서 더 솔직한 이름은 ‘자본의힘’이다. 그러나 최소한 이 정당이 자본이나 권력을 위해서 꾸준한 지지를 얻으려면 국민의 동의를 얻을 수 있는 변화와 혁신을 지속해야 한다. 나의 비판적 시각에서 보면, ‘국민의힘’이 아니라 오히려 민주당이 그런 일을 더 열심히 하려 한다. 일례로, 오늘날 ‘돈 놓고 돈 먹는’ 경제가 (혈액 순환이 잘 되지 않는 동맥경화처럼) ‘돈맥경화’에 걸려 상품과 화폐의 순환이 원활하지 않는 상황에서, 이재명의 민주당이 국민 1인당 25만 원씩 지원금을 지급하려 한 구상이 바로 그것이다. 이런 게 국민에게 힘을 주는 ‘자본의힘’(실은 ‘국민의힘’이 해야 할 일)이다. 그러나 ‘국민의힘’은 민주당의 발목만 잡다가 허송세월한다. 하지만 여야 정당을 떠나, 내가 보기에 진정 국민(시민, 민중, 민초)에게 필요한 변화와 혁신은, 돈이 많이 없어도 행복하게 살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드는 일이다. 물론, 이를 위해서라도 꾸준한 공부와 연구, 토론과 대화가 필요하다. <녹색평론> 186호(2024년 여름)에 김정현 발행인이 쓴 머릿말 ‘가장 진보적인 운동’은 그런 토론에 도움이 된다. 요컨대, ‘국민의힘’ 정당이 사회적 정당성을 회복하려면 정직과 신뢰, 비판과 성찰, 변화와 혁신을 온몸으로 보여 주어야 한다. 다른 말로, 지금과 같은 꼼수와 거짓, 은폐와 조작, 무지와 무능의 모습을 철저히 극복해야 국민의 힘을 기반으로 유지되고 국민에게 힘이 되는 정당으로 거듭날 수 있다. 물론, 나는 이것이 현재의 국힘당에게 쉬이 가능하다고 믿진 않는다. 다만, 기본 입장이나 시각이 그렇다는 말이다. 같은 잣대는 민주당이나 조국혁신당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민주당이나 조국당 역시 정직과 신뢰, 비판과 성찰, 변화와 혁신을 온몸으로 이뤄낼 뿐 아니라 국민, 시민, 민중, 민초의 열망에 부응한 일들을 해낼 때 비로소 더 전폭적 지지를 받을 것이다. 4‧10 총선 직전에 있었던 민주당 내 ‘수박 제거’ 운동이나 총선 이후 새 국회의장 선출 과정에서의 다수 ‘당원 실망’ 사태 등이 그 좋은 예다. 운동이나 조직이 그 기층(국민, 시민, 민중, 민초)과 유리되지 않아야 거듭된 실수, 실망, 실패를 예방할 수 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무엇이 진정한 국민, 시민, 민중, 민초의 열망인지 알기 위해서라도 진실하고 균형 잡힌 언론(유튜브 포함)의 역할이 필수라는 것이다. ‘국민의힘’ 정당이 진정 국민의 힘에 기초한 활동을 하지 못함으로써 국민들에게 힘을 주고 있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는 것도 (애완견 내지 시녀가 되어버린) 언론과 함께 공범이 되어 진정한 국민, 시민, 민중, 민초의 열망을 간과, 무시, 부정, 왜곡, 호도해 왔기 때문이다. 그러면 여기서 진정으로 국민(시민, 민중, 민초)의 힘을 존중한 외국의 한 사례를 들어보자. 2021년 5월경 온 캐나다 사회가 떠들썩했던 적이 있다. 브리티시 콜롬비아 주의 캠룹스(Camloops)라는, 인구 10만 명 규모의 소도시에서의 일 때문이다. 캠룹스의 인디언 기숙학교 부지에서 215명에 해당하는 유골(신체적, 성적, 언어적, 문화적 학대의 결과)이 발견됐다. 인디언 기숙학교란 1867년 캐나다 건국 이후 1996년까지 130년 동안 모두 약 15만 명의 인디언 선주민(First Nations, Inuit, Métis)의 아이들을 서양식으로 ‘개화’하기 위해 가톨릭교회가 정부 지원 아래 강제 운영한 교육 제도다.<계속> 본 칼럼은 시민언론 민들레에 기 게재된 내용임을 밝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