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반역의 시대에 소환한 녹두장군의 ‘프레임 전쟁’(3)

: 너희는 누구냐?
: 너들이 말한 반국가세력이다. (중략)
: 암약을 하고 있느냐?
: 어찌하여 우리더러 암약을 한다 하느냐? “암약을 하는 건 바로 왜놈에게 나라를 팔아먹고도 끄떡없는 부패한 너희 고관들, 그리고 수사조작, 증거조작, 고발사주, 조사농단, 마약밀수, 역사왜곡 따위에 대해 전혀 진실을 밝히지 못하는 너희 정치 검사들 아니냐?
: 허위 정보와 가짜뉴스, 사이버 공격으로 자유민주주의 체제를 위험에 빠뜨리고 국민의 정신을 혼란하게 만드는 게 암약이 아니고 무엇인가?
: 자유도, 민주주의도, 역사까지도 망가뜨려 국민을 혼란하게 만든 건 우리가 아니라 바로 너희 가짜 한국인들이다. 우리가 촛불을 들고 광장으로 나온 건 기울어져가는 나라를 구하고자 함이요, 국민들 삶의 질과 민주주의를 고양하고자 할 따름이다. (중략)
: 그럼 너희들도 최시형(해월)에게서 촛불 봉기의 허락을 받았는가?
: 민주주의를 하자는데 무슨 허락이 필요한가? 정의(正義)란 본심(本心)이다. 당신 발등에 똥이 떨어졌다면 당신은 그것을 허락을 받고 치우겠는가?
: 아직 할 말이 남았는가?
: 제발 정신 좀 차려서, 세계 공멸 앞당길 전쟁 준비같은 건 않으면 쓰것다! 쿠바의 호세 마르티 선생도 다른 사람의 자유를 억압하려 들지 않는 사람만이 자유를 말할 자격이 있다.”고 하지 않았던가?
물론, 이런 식으로 전봉준처럼 깡다구 있게 프레임 전쟁을 압도하기는 쉽지 않다. , 정보, 권력, 네트워크, 협박 등을 활용한 자본의 지배력(길들이기 전략)이 너무나 거대하고 교묘하기 때문이다. 대부분은 돈(화폐 권력) 앞에 무너진다. 돈이 아니라도 발목이 잡힌 경우도 많다. 지배권력(자본과 정치의 동맹)은 정보력을 이용해 평소에 요주의 인물들의 발목을 잡고 있다. 이른바 검찰 캐비닛이 바로 그것이다. 그러기에 선거 직전엔 체 게바라 같은 혁명가처럼 세상을 바꾸겠다고 목소리 높인 사람들도 막상 당선되고 나면 슬슬 알아서 기는경우가 허다하다. 그러다가 임기가 끝나고 나면 한가하게 언론에 나와 이제는 말할 수 있다는 식의 한담이나 나누기 일쑤다. 나는 일제가 남기고 간 밀정들이 죽()도록 밉지만, 이런 식의 가짜 혁명가는 더 밉다. 그래서도 자본(주의)’에 대한 비판적 공부가 필요하다.
특히, 19458월 광복 당시 조선의 마지막 일제 총독이었던 아베 노부유키가 이런 말을 하고 떠났다 한다. “우리는 패했지만 조선은 승리한 것이 아니다. 장담하건대, 조선인이 제 정신을 차리고 찬란했던 옛 조선의 영광을 되찾으려면 100년이란 세월이 더 걸릴 것이다. 우리 일본은 조선인에게 총과 대포보다 무서운 식민교육을 심어 놓았다. 결국은 서로 이간질하며 노예적 삶을 살 것이다. 보라! 실로 조선은 위대했고 찬란했지만 현재 조선은 결국 식민교육의 노예로 전락할 것이다. 그리고 나 아베 노부유키는 다시 돌아온다.” 이미 이 땅에 대통령 이광수도 돌아왔고 아베 노부유키도 무수히 많이 돌아온 듯하다. , 식민지 노예 교육! 오호, 통재라!
사태의 진실을 파악하기가 이래서 힘들게 되었는데, 하물며 본질보다 현상에만 눈이 곧잘 쏠리는 보통 사람들에게는 자본의 지배력이나 자본 독재의 실상이 잘 보일 리 없다. 설사 본인이 직접 피해당사자가 되는 불행한 시간이 닥쳐 어렴풋이나마 자본 독재의 실상이 보여도, 자본의 지배력에 맞서 싸울 능력도 기운도 의지도 대체로 약하다. 그래서 대다수는 기껏 떡고물이나 좀 더 많이 챙기려는 분배투쟁에만 목숨을 걸 뿐, 근본 문제를 뿌리 뽑으려는 의지는 약하다. 그러나 좌절과 포기는 영원한 패배일 뿐! 따라서 스페인 카탈루냐오베르타 대학에서 철학을 가르치는 로라 로스 선생의 말(<녹색평론> 186, ‘지역의 자치, 왜 중요한가’)처럼 사람들은 비록 시스템을 무너뜨릴 수는 없을지라도 거기에 균열을 낼 수 있다.” 그리고 “(균열을 내는 식으로) 성취감을 반복적으로 경험하면서 비관주의에서 빠져나올 수 있다.” 그렇다. 반인간, 반민주, 반생명 체제의 틈새를 뚫고 부단히 균열을 냄으로써 우리는 성취감과 효능감을 느끼게 된다. 민주주의의 완성을 향한 행진이다!
마치 (전봉준과 비슷하게 꼬박 40년만 살았던) 세계혁명가 체 게바라(1928~1967)가 쿠바 혁명에 성공한 뒤 혁명 동지 피델 카스트로를 떠날 때 했던, “영원한 승리의 그날까지란 말처럼, 우리 역시 영원한 승리의 그 날까지결코 민주주의 행진을 포기할 순 없다. 세상이 아무리 비관적이고 정치가 아무리 더럽고 치사해도, 오늘 우리가 여기저기 뿌린 민주주의의 씨앗은 결코 사라지지 않고 이미 딱딱해진 땅조차 균열을 내며 소록소록 새싹을 틔우게 될 것이니!<>
 
 
본 칼럼은 시민언론 민들레에 기 게재된 내용임을 밝힙니다.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