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upload/1727339580321869481.jpg)
버스, 지하철을 타거나 도심 길거리를 걷다 보면 작은 손선풍기를 들고 얼굴에 바람을 쐬는 이들을 본다. 이 찜통더위에 ‘오죽하면’ 싶기도 하고, 과거에 비하면 ‘온갖 게 다 나오네’ 싶기도 한데, 마음 한 켠에선 안타까움이 치솟는다.
한편, 이번 추석 명절에도 전국적 이동 인구가 많았다. 한국교통연구원과 한국도로공사에 따르면, 추석 연휴 기간의 총 이동 인구는 약 3700만 명으로 예상되었고, 하루 평균 약 600만 명 이상이었다. 버스나 기차 등 대중교통도 많이 이용하지만 자동차 이용 역시 많았다. 추석 당일 부산에서 서울까지 자동차 이동 시간은 평소의 두 배인 9.5시간으로 예상됐는데, 실제로는 10~11시간 걸렸다. 또, 평소는 물론 명절 같은 때가 오면 택배 이용이 많다. 문 앞까지 배달해 주기에 매우 편리하다. 택배를 보내는 사람은 예전처럼 선물 꾸러미를 들고 가가호호 방문할 필요가 없어 일이 간편해진 면도 있다. 뭐 특별한 것도 아닌 일상사를 몇 가지 들추는 까닭은, 이러한 우리의 ‘평범한 일상’이 본의 아니게 위험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개인적 합리성과 사회적 비합리성의 충돌이다. 왜 그런가?
손선풍기를 들고 다니면 당장은 시원한데, 계속해서 배터리를 충전해야 한다. 전기가 계속 든다. 이제는 집집마다 필수품처럼 되어버린 선풍기, 에어컨, 제습기, 공기 정화기, 식기 세척기, 냉장고, 냉동고, 김치냉장고, 스타일러, 심지어 AI(…) 역시 마찬가지다. 온갖 가전제품 목록이 길어질수록 전기가 모자라 핵발전소 추진 세력이 힘을 얻는다. 한편, 가전제품 부품은 대부분 플라스틱이다. 자신도 모르게 우리는 매 주일 신용카드 1장 정도의 미세플라스틱을 먹는다고 한다. 그러고 보니, 주변 어디를 둘러 봐도 플라스틱이 안 들어간 게 별로 없다. 편리함의 대가다. 더 중요한 점은 아무리 선풍기, 에어컨, 제습기, 공기 정화기를 써도 이 찜통더위나 미세먼지의 역습을 막을 수 없다는 것! 오히려 그렇게 개인들이 합리적 선택을 할수록 사회 전체, 지구 전체는 더 비합리적 방향으로 치닫는다. 핵은 ‘완벽한 죽음’의 표상이고, 이젠 기후위기를 넘어 ‘6차 대멸종’이 거듭 경고된다. 사라지는 벌과 멸종위기 종을 보시라.
자동차는 어떤가? 나 역시 예외가 아닌데, 집집마다 편리함, 신속함, 쾌적함, 익명성 등에 설득당해 자동차를 몬다. 개인의 자유롭고도 합리적인 선택! 그러나 많은 개인들이 합리적 선택을 해서 한꺼번에 거리로 나오면 본의 아니게 ‘교통 체증’과 ‘공기 오염’ 등 사회적 비합리성이 생긴다. 사회 전체적으로 시간 낭비, 에너지 낭비, 건강 폐해가 심해진다. 전국 곳곳에 자동차 도로를 만들고 확장하느라 산천을 파헤치고 논밭을 없애는 것은 단순한 낭비를 넘어, 건강한 살림살이의 토대 자체를 파괴하는 자살 행위이기도 하다. 또, 자동차 배기가스 속엔 대부분 수증기,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탄화수소, 질소산화물 등 온실가스가 많고 발암물질인 미세먼지도 나온다. 차가 달리면 타이어가 닳는데, 이게 초미세 가루가 되어 코와 폐로 침투한다.
편리한 택배 역시 비슷하다. 각자의 휴대폰이나 PC로 검색, 결제, 주문함으로써 전국 곳곳의 지인에게 선물 배달을 신속하고도 정확하게 하는 것은 개인의 합리적 선택이다. 나 역시 그런 택배를 많이 보내기도, 받기도 한다. 어디건 택배차가 가가호호 방문하는 건 좋지만 배기가스를 온 동네에 뿜어댄다. 택배 포장을 뜯으면, 테이프가 지나치게 많고 박스 역시 양이 엄청나다. 때로는 플라스틱 소재도 많고 뽁뽁이나 비닐도 많다. 원룸 촌이 있는 동네를 지나다 보면 곳곳에 배달 음식이 남긴 쓰레기도 산더미다. 우리가 개인적으로 아무리 ‘분리수거’를 잘 한다 해도 과연 이 넘쳐나는 쓰레기를 어디서 어떻게 처리할까 싶다. 생각할수록 정신이 아득하다. 그래서 아예 ‘생각’ 자체를 지운다. 편리의 대가는 이렇게 무겁고도 무섭다.
개인적 합리성과 사회적 비합리성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논리적으로 크게 세 가지다. 첫째는 사회적 비합리성을 초래하는 개인적 합리성을 절제하거나 포기하는 것, 둘째는 개인적 합리성이 유발하기 쉬운 사회적 비합리성을 교정하거나 예방하는 것, 셋째는 이 둘의 결합으로, 개인적 합리성에 조심스레 접근하면서도 사회적 합리성이 높은 대안을 찾는 것이다.
첫째 방법(사회적 비합리성을 초래하는 개인적 합리성을 절제하거나 포기하기)부터 구체적으로 살펴보자. 찜통더위에 대한 (손)선풍기, 에어컨, 제습기, 공기청정기 같은 해법들은 전기도 많이 쓰고 플라스틱도 남용하며, 문제의 원인은 해결하지 못하면서 당장 나만 편하게 살려 하는 것이다. 선풍기나 에어컨 등은 지구 온난화(이제는, 지구 열탕화)에 대한 신자유주의적 해법이다. 이는 사회적이고 생태적인 문제를 개인적 상품 구매로 해결하려는 걸 일컫는다. “뒷일은 나 몰라!” 식 태도를 가진 자본 입장에서는 지구 온난화(열탕화)가 새 시장 개척의 기회다.<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