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정권의 위기가 깊어졌다. 대통령의 11월 7일 ‘끝장 기자회견’은 도움은 되지 않고 새로운 조롱거리만 제공했다. 위기의 징후는 사방에 널렸다. 제일 확실한 게 무얼까? 대통령의 언행과 정책을 내놓고 옹호하는 논객이 거의 없다는 사실이라고 나는 본다. 방송 시사프로그램에 출연하는 보수 패널들은 대통령과 정부를 옹호하지 못한다. 민주당과 이재명 대표를 비방하며 ‘양비론’을 펴는 게 그들의 유일한 전략이다.
윤석열을 비판하는 보수 논객이 하나둘이 아니다. 정규재 씨는 대선 전부터 그랬다. ‘보수의 거성’ 전원책 변호사는 요즘 들어 비판을 시작했다. 지난 대선 때 그는 나와 함께 KBS <정치합시다>에 고정 출연했다. 윤석열 후보를 지지했고, 선거 기간 내내 윤석열의 넉넉한 승리를 장담했다. 개표 생방송 도중 ‘윤석열 당선 확실’ 뉴스가 뜨자 새로운 시대가 열린다며 기뻐했다. 민주당의 분열과 윤석열 주도 정계개편을 예측했다. 그랬던 그가 더는 윤석열을 편들지 않는다. 이재명과 민주당을 비판할 뿐이다.
대통령은 외롭다. 지근거리에는 용산 대통령실의 ‘김건희 라인’ 아부꾼들뿐이다. 그래서인지 밤에 ‘술친구’를 관저로 부른다는 소문이 돈다. 윤석열은 박수부대를 배치해둔 행사장만 다닌다. 조금이라도 불편한 곳은 가지 않는다. 야당 의원들이 야유한다고 해서 국회까지 외면했다. 예산안 시정연설을 총리가 대신하게 했다.
똑같은 이유로 신문 방송 뉴스도 직접 보지 않고 대충 보고만 받는 듯하다. 내놓고 편들어주는 데가 KBS 하나뿐이니 그럴 만도 하다. 신문도 <한국경제>와 <매일신문> 빼고는 무조건 대통령을 옹호하는 데가 없는 것 같다. <조선> <중앙> <동아>조차 내놓고 대통령을 ‘디스’한다. 친윤 유튜브 채널은 위로가 되지만 영향력이 없다. <신의한수> <고성국TV> <배승희변호사> 등 대표적인 친윤 유튜브 방송은 최근 한동훈을 비난하는 데 화력을 집중하고 있다. 구독자는 백만 명이 넘지만 생방송 실시간 구독자와 영상 조회 수는 빈약하다.
지난 주 여론조사에서 대통령 국정수행 지지도가 17퍼센트까지 내려갔다. 민주당 지지층은 원래 부정적이라고 하자. 문제는 중도층 또는 무당층인데, 여기서도 긍정 평가는 10퍼센트 안팎에 지나지 않았다. 국힘당 지지층조차 절반은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불만을 표시했다. 여기서 더 내려가는 것은 막아야 한다. 그러려면 ‘논객다운 논객’이 필요하다. 유능한 논객들이 나서야 유리한 정보와 설득력 있는 논리로 지지층을 결집하고 중도층을 포섭할 수 있다. 그런데 그런 논객이 보이지 않는다. 친윤 유튜버들은 여전히 활발하지만 목적이 무엇인지 미심쩍다. 새로운 지지자를 확보하는 게 아니라 대통령의 지지층을 선동해 수익을 창출하는 데 몰두하는 것 아닌지 의심할 만하다.
새는 좌우의 날개로 난다. 사회가 발전하려면 보수와 진보가 치열하게 논쟁하고 토론하고 경쟁하고 때로는 타협해야 한다. 그런 점에서 보수 논객의 실종은 윤석열뿐만 아니라 대한민국에도 바람직하지 않다. 윤석열이 아니라 대한민국을 위해서, 보수 논객의 분발을 촉구한다. 특히 문재인 정부 때 언론의 집중 조명을 받았던 ‘스타 논객’들의 전선 복귀가 절실히 필요하다. 그들은 윤석열 정권 탄생에 큰 기여를 했다. 대통령이 백척간두의 위기에 봉착했는데 뭐하고 있는가. 몸을 아끼지 말고 나서야 하지 않겠는가.
누가 있냐고? 많다. 2019년 여름의 ‘조국 전쟁’을 이끌었던 보수 논객이 숱하게 많지 않은가. 제일 유명한 그룹이 진중권을 포함한 ‘조국흑서 5인방’이다. 한때 언론의 총아였던 그들이 왜 몸을 사리는지 알다가도 모를 일이다. ‘조국흑서 5인방’의 뒤를 이어 보수의 구세주로 활약했던 스타 논객이 또 있다. 2020년 여름 혜성처럼 등장해 2022년 대선 때 초신성 폭발을 일으키고 홀연히 사라진 조은산이다. 지금 어디서 무엇을 하고 있기에 보이지 않는가?
조은산은 본명이 아니라 활동명일 것이다. 그는 2020년 8월 12일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 “진인(塵人) 조은산이 시무7조를 주청하는 상소문을 올리니 굽어 살펴주시옵소서”라는 긴 제목의 글을 올렸다. 언론이 ‘시무7조’라는 줄임말로 널리 알린 그 청원은 고려 초기 최승로가 성종에게 긴급한 현안과제를 이야기한 ‘시무28조(時務二十八條)’를 오마주 또는 패러디한 것으로 추정한다. 일주일이 지난 8월 19일 <일요신문>이 첫 보도를 냈고, <쿠키뉴스>는 청와대가 그 청원을 비공개 처리한 것을 게시판 조작이라고 비난했다.
8월 26일 <문화일보>와 <조선일보> 등이 ‘문 정부의 뼈를 때린 상소문’을 숨겼다고 청와대를 때렸다. 청와대는 특정인에 대한 인신공격이 들어 있었던 그 청원을 정해진 절차에 따라 심의한 뒤 8월 27일 공개했다. 언론은 ‘시무7조’와 조은산에 대한 보도를 하루 수백 건씩 쏟아냈다. 출근하는 대통령실 수석과 장관을 붙들고 ‘시무7조’를 읽어봤는지 물었다. 반응하면 하는 대로, 하지 않으면 않는 대로, 또 정부를 ‘까는’ 기사를 썼다. ‘조은산’과 ‘시무7조’는 포털 사이트 실시간 검색어 순위에 올랐다.<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