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준병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6일 항일독립운동의 역사를 바로 세우기 위해 항일독립운동의 왜곡된 기점을 제대로 정립하도록 국가보훈부가 전향적인 태도 변화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윤 의원은 이날 국회 소통관에 김준혁·박수현·박희승·이재관 의원, 동학농민혁명 유족회, 제2차 동학농민혁명참여자 서훈 국민연대와 함께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는 항일독립운동의 역사를 바로 세우는 일을 방기한 채 일제 식민사관 역사학자들의 논리를 60년 넘게 답습하고 있다”며 이같이 요구했다.
이들은 “1905년 을사늑약 체결 전인 1894년에 일제는 조선왕조의 왕궁인 경복궁을 기습 점령하고 고종을 감금하는 등 국권을 침탈했고 1895년 명성황후를 시해하는 을미사변을 일으켰다”며 “이 모두 국권이 현저하게 침탈받았던 ‘준 식민상태’였다”고 지적했다.
특히 “제2차 동학농민혁명은 ‘동학농민혁명 참여자 등의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항일무장투쟁을 전개한 농민 중심의 혁명’이라고 명확히 정의되어 있다”면서 “따라서 1894년 일제의 경복궁 점령 사건을 항일독립운동의 역사에서 배제하는 것은 국가보훈부의 직무유기이자 법 위반이다”고 비판했다.
앞서 윤 의원은 지난달 29일 ‘독립유공자예우에 관한 법률’에 명확히 기술되어 있지 않은 ‘일제의 국권침탈 전후’를 “1894년 일본군 경복궁 점령 사건, 1895년 을미사변, 1905년 을사조약, 1910년 한일합병조약 등 일본제국주의로부터 국권이 현저히 침탈받았거나 국권이 침탈된 시기”로 명확히 규정하는 ‘항일독립운동 기점 정립법’을 대표 발의했다.
/서울=김영묵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