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국가비상사태에 처한 저출산…‘전북에서 해법 찾자’

도-전북연구원-전북여성가족재단, 저출생 대응 정책발굴
“안정된 일자리와 아기 낳기 좋은 환경이 조성돼야만 출산과 양육이 부담이 아닌 미래를 위한 투자로 인식될 것이다. 실질적인 저출생 대응 방안을 찾아 아이들 웃음소리 가득한 전북을 만들자”

정부가 저출생 문제를 국가비상사태로 선포한 가운데 지방 정부 차원에서 지역의 실정을 고려한 특화 정책을 발굴하기 위해 논의의 장을 마련했다.

27일 전북자치도에 따르면 도와 전북연구원, 전북여성가족재단은 이날 전북자치도청 4층 대회의실에서 각계 전문가 1백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전북형 저출생 대응 정책 발굴 세미나’를 공동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전북이 경기를 제외한 광역도 가운데 가장 낮은 합계출산율을 기록하는 등 초저출산에 따른 지방소멸을 막기 위한 특단의 대책을 마련하고자 마련됐다.

실제 지난해 기준 전북지역 합계출산율은 0.78명으로, 전남(0.97)·강원(0.89)·경북(0.86) 등 여타 도농복합도시보다도 낮고 광주(0.71)·대구(0.7)·인천(0.69) 등 대도시권과 유사한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로 인해 전북자치도는 인구의 날인 지난 7월 11일 실현 가능한 인구 증가 대책을 수립하기 위해 ‘저출생 대응 전담팀’을 구성해 분야별 정책과제를 발굴하고 있다.

이날 세미나에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조성호 부연구위원, 한일장신대 이혜숙 교수, 전북여성가족재단 여성정책연구소 조막래 연구위원 등이 나서 각각 ‘저출생 대응을 위한 일자리 정책 방향과 과제’, ‘전북자치도 저출생 대응방향 모색’, ‘저출생을 넘어 지속가능 사회를 위한 린치핀: 전북형 일·생활균형 정책환경 진단 과제’ 등을 주제로 발표가 이뤄졌다. 현재 전북지역은 가임연령대 기혼여성의 무자녀 비율 중 25~29세 비율 증가세가 두드러지고 30~34세 무자녀 중가 비율이 높은 실정이다.

이남호 원장은 “이날 저출생 대응 세미나는 다자녀 가구 채용목표제 도입, 파격적인 주거정책 등 실효 있는 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논의의 장이었다”고 말했다.

전북여성가족재단 전정희 원장은 “전북자치도의 저출생 해소를 위한 실질적인 논의가 이뤄졌다”며 “앞으로도 깊은 관심을 갖고 대책 마련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민경순 기자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