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농어촌 ‘식품사막화’…“남 일 아닌 우리 곁 현안 됐다”

전북 행정리의 83.6% 식료품 점포 실종, 건강통계 열악
전북연구원-식품사막지도, 협동조합 식료품점 등 등 제안
전북 도내 농어촌지역의 식품 사막화가 가속화 되면서 농어촌주민들의 건강권과 먹거리 기본권 보장 등 삶의 질을 유지시키는 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조사됐다. ‘식품사막’이란 용어는 1990년대 초반 스코틀랜드 서부에서 도입된 용어로 신선하고 건강한 식품을 구매하기 어려운 지역을 지칭한다.

전북연구원(원장 이남호) 4일 ‘농촌지역 식품사막화(Food Desert)의 의미와 과제’를 다룬 이슈브리핑을 통해 현재 진행중인 전북자치도 식품사막화가 심각한 수준이라면서 선제적인 정책적 논의와 대응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전북연구원은 지난 2020년 농림어업총조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도내 행정리 5천245개 중 83.6%가 마을에서 식료품을 살 수 있는 점포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식품소비행태를 조사한 결과에서도 농어촌 가구는 오프라인 식료품점을 주 1회 이상 방문하는 가구가 전체 가구 중 78.6%로, 85.9%인 도시보다 낮았다. 온라인으로 식품을 구입하지 않는 농어촌의 가구는 전체 중 59.0%로 31.8%인 도시보다 커 식품접근성이 크게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농어촌의 인구감소가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음을 감안하면 소매점이 없는 농촌 마을의 증가는 꾸준히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전북연구원은 인구감소와 더불어 열악한 대중교통 시스템, 농어촌사회의 네트워크 약화, 대형 유통업체의 부재, 기후변화에 따른 식품공급의 불안정성 등도 식품 접근성을 악화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조원지 책임연구위원은 “농촌지역의 ‘식품사막’은 개인이 섭취할 수 있도록 생산된 모든 음식물이 없는 지역을 의미하기보다 개인이 식품을 쉽게 구입 가능한지를 의미한다”면서 “식품 접근성 문제는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포괄적이고 다각적인 관점에서 해결돼야 한다”고 밝혔다.

/유연순 기자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