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전북자치도, 자립형 ‘포스트 문화도시’ 전략 구상

정부 지원 후 자립 가능한 ‘포스트 문화도시’ 전략 마련
협력과 연대 통한 차별화된 문화도시 브랜드 구축
전북자치도는 도내 문화도시들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자립 가능한 '포스트 문화도시'로 나아가기 위한 방안을 찾고 있다. 

전북자치도가 주최하고 전북연구원이 주관한 '전북 문화도시의 성공적 추진과 포스트 문화도시 전략 구상을 위한 세미나'가 지난 4일 개최됐다.

이 자리에는 전주, 익산, 완주, 고창 등 4개 문화도시 담당자들과 문화재단, 문화도시센터 등 관계자들이 모여 머리를 맞대고 지속 가능한 발전 전략을 논의했다. 

문화도시란 지역 사회의 고유한 문화적 자산과 특성을 활용, 지역 주민들이 주체적으로 문화활동을 즐기고, 이를 통해 지역의 경제적, 사회적 발전을 도모하는 도시를 말한다. 현재 전북도는 익산, 완주, 고창 등 세 개의 도시가 법정문화도시로 지정됐다. 

세미나는 정부의 지원이 종료된 이후에도 각 도시가 독립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지역 특성을 최대한 반영한 발전모델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개최됐다. 협력과 연대를 통해 차별화된 문화도시 브랜드를 구축하고 지역적 자산을 활용한 새로운 발전모델을 찾기 위한 다양한 의견을 교환했다.

전북연구원의 장세길 박사는 “문화도시들이 개별적으로 사업을 추진하다 보니 연대와 협력의 부재로 인해 효과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며 “도내 각 도시들이 상호 협력적 네트워크를 형성해 공동 사업을 추진함으로써 전북 문화도시의 브랜드를 강화할 필요가 있고 이러한 협력을 통해 중앙정부 및 전북자치도의 지원을 효율적으로 이끌어 낼 수 있다”고 역설했다.

전북자치도 관계자는 “문화도시들이 자립하려면 단순히 개별 사업을 넘어선 협력과 연대가 필수적이다”며 “전북형 문화도시 브랜드를 구축하고 이를 바탕으로 도시들이 연대해 확실한 공동의 성과를 만들어내야 포스트 문화도시로서 다음 단계의 지원을 이어갈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북연구원의 이남호 원장은 “문화는 지역 사회의 정체성과 공동체 의식을 형성하며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는 핵심 요소다”며 “문화도시들이 이러한 가치를 바탕으로 지역 경제에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동력으로 삼아야 한다”고 말했다.

/민경순 기자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