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전북자치도, 기능성식품 규제자유특구 후보 특구 선정

사업기획비 1억 확보, 최종 선정 위해 혁신기관 등과 과제 상세기획
전주, 익산, 순창지역 기능성식품산업 혁신클러스터 발전 가속
전북자치도는 27일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주관하는 규제자유특구 후보특구공모에 기능성식품 규제자유특구가 선정되었다고 밝혔다.

도는 후보특구로 선정됨에 따라 오는
12월까지 세부 실증사업 보완, 특구사업자 모집, 규제신속 확인 등 과제 상세 기획을 통해 사업을 구체화할 계획이다.

최종 결과는 중기부 분과위, 심의위, 특구위 심의 및 평가 등을 거쳐 내년 4월 발표될 예정이다. 현재 후보특구는 전북을 포함해 경북·광주·대전·울산·전남·제주에 해당하며 이중 3곳을 최종 선정해서 26년부터 4년간 규제특례 실증사업이 추진된다.

기능성식품 규제자유특구가 최종 지정되면 기능성 특화 품목 육성을 통한 농산업 부가가치 증진, 기능성식품 소재 상품화를 통한 식품산업 활력 제고와 디지털 바이오 기술이 적용된 미래 농식품산업 신모델이 결합해 중소기업과 스타트업의 혁신성장 플랫폼이 될 것이며 K-푸드 글로벌화를 앞당기게 될 것이다.

도는 국가식품클러스터(1·2단계), 기회발전특구(건강기능식품), 연구개발특구(농생명융합)의 농식품산업 혁신생태계와 연계해 기능성식품의 기술투자와 기업을 집적함으로써 중소기업이 상생하는 가치사슬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최종 특구 지정을 위해 한국식품산업클러스터진흥원, 바이오융합산업진흥원, 전북테크노파크 등과 Kick-off 회의를 시작으로 준비에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

오택림 도 미래첨단산업국장은
그동안 시도된 바 없는 새로운 아이템으로 이번 기능성식품 후보특구에 선정돼 농생명산업수도 위상 확립에 한걸음 다가갔다전북 농생명 산업을 견인하고 국가 기능성식품 산업을 선도하는 기능성식품 혁신클러스터로 발전할 수 있도록 규제자유특구 최종 지정을 위해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규제특례를 통해 지역의 혁신산업을 육성하는 규제자유특구는 2019년 제도 도입 이후 현재까지 전국 39개의 특구가 지정됐으며 전북지역은 친환경자동차특구와 탄소융복합특구가 선정돼 운영 중이.

이와 관련
, 도는 이번 신규 후보특구 선정 대응을 위해 올해 1월부터 9개 혁신기관과 전략산업분야 기업현장의 애로사항과 규제여부 검토를 거쳐 규제를 발굴해 한국식품클러스터진흥원, 전북바이오융합산업진흥원, 전북테크노파크 등과 협업을 통해 기능성식품 규제자유특구를 기획했다.


정부와 전북도는 기능성식품을 그린바이오 핵심전략으로 육성하고 있고 기능성식품 산업은 초고령사회 도래 등 건강 관심 증가로 수요가 급증
, 고부가식품·약품산업 등전후방 연계효과와 지역경제 파급력이 큰 신산업이다.

/
최준호 기자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