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자치도, 초고령사회 대응 노인 복지 정책 강화
노인 여가생활 지원 및 디지털 격차 해소 교육 제공
노인 복지 예산 1조4천4백70억...맞춤형 돌봄 서비스 확대
전북자치도는 2일 '노인의 날'을 맞아 급증하는 노인 인구와 이에 따른 초고령사회에 능동적으로 대비하기 위해 역량을 모으고 있다. 전북은 지난 8월 말 기준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43만2천191명으로, 전체 인구의 24.86%에 달한다. 이는 전남(26.85%), 경북(25.54%), 강원(24.91%)에 이어 전국에서 네 번째로 높은 수치다. 특히, 전주를 제외한 전북의 13개 시군은 이미 초고령사회(65세 이상 인구 비율 20% 이상)에 진입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전북자치도는 다양한 노인 복지 정책을 추진 중이며 올해 노인 복지 예산으로 1조4천4백70억원을 편성했다. 이는 도 전체 예산의 15.2%에 해당하는 금액으로, 수요자 맞춤형 정책과 지원 체계 강화를 통해 노인들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전북은 노인 일자리 창출과 기초연금 인상을 통해 노후 소득을 보장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전북은 올해 들어 7만8천841개의 노인 일자리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는 공공형, 사회서비스형, 민간형 등 다양한 형태로 나뉜다. 노인 맞춤 돌봄 서비스와 응급 안전 서비스도 확대된다. 노인의 개별 욕구에 맞춘 맞춤형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며, 응급 상황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는 응급 안전 서비스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노인들의 활기찬 생활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지원된다. 경로당에 와이파이가 설치되고 여가 프로그램 운영과 냉난방비 지원이 이뤄져 노인들이 보다 건강하고 활기찬 일상을 누릴 수 있도록 돕는다. 김석면 도 고령친화정책과장은 “초고령사회로의 빠른 진입은 도민 모두의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며 “전북은 노인복지 정책을 통해 모든 세대가 상생할 수 있는 지역 사회를 구축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유연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