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농생명 분야 외국인 인력 장기 정착화 프로젝트 필요

지역특화비자 통해 고용허가제(E-9) 근로자 지역인재 유치
전북연구원(원장 이남호)이 외국인 인력이 전북자치도 농업·농촌 분야에 장기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새로운 비자 모델인 농생명 맞춤형 지역특화비자 전략을 제시했다.
 
전북연구원은 28일 이슈브리핑(310) ‘농생명 분야 외국인 지역우수인재 확보를 위한 지역특화비자 전략 및 운영 방안발표를 통해 농업과 연관 산업의 인력난 및 농촌 인구감소 문제 해결 방안을 제시했다. 이 전략은 전북 농업과 농촌에 필요한 인재를 유치하고 정착시킴으로써 농생명산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지원하고 농촌 지역사회에 활력을 불어넣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도내 농촌지역은 급격한 고령화와 수도권 인구 집중으로 농업과 연관산업에서 인력 부족을 겪고 있다. 도내 농업의 경우 인력 공백이 생산성과 지속 가능성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어 지역경제 활성화에 부정적 영향을 주고 있다.
 
기존의 고용허가제(E-9)를 통해 외국인 근로자를 유입해 왔지만, 이들이 단기 순환 고용에 그쳐 인력난 해소에 한계가 있었다.
 
조원지 책임연구위원은 이에 새로운 비자 모델인 농생명 맞춤형 지역특화비자 전략을 제시하면서 도내 농업·농촌에 필요한 외국인 인재들이 지역사회에 정착하고 필요한 전문성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하는 맞춤형 교육과 비자 전환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 연구원에 따르면 지자체는 농업·농촌 전문교육기관(, 도 농식품인력개발원)과 연계해 고용허가제(E-9) 근로자에게 스마트팜, 농산물가공, 농촌체험관광 등 농생명산업에 필요한 전문교육을 제공한다. 이 과정을 이수한 외국인 근로자는 비전문취업비자(E-9)를 지역특화비자(F-2-R)로 전환할 수 있다.
 
이 비자전환 프로그램은 단기적 노동력을 보충하는 것을 넘어 외국인 근로자가 농촌의 핵심 인력으로 정착해 지역 농업의 경쟁력과 지속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 전략은 외국인 근로자들이 가족과 함께 농촌 지역에 정착하도록 돕는 지원 시스템을 포함하고 있다.
 
조원지 연구원은 외국인 인재가 도내 농촌에 정착해 지역사회에 기여함으로써 농촌의 자생적 성장을 촉진하고 전북이 지속 가능한 농생명산업의 중심지로 자리잡는 기반이 마련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은지 기자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