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道, 바이오기업 5년간 150개사 유치...1천274억 펀드 조성

김관영 도지사, 세계바이오혁신포럼에서 바이오산업 육성방안 발표
그린바이오 넘어 레드바이오까지...R&D에 연 2백억 지원


전북자치도가 바이오산업 육성 목표를 그린바이오와 레드바이오의 융합으로 재생의료 중심의 의생명 바이오 거점 조성으로 잡았다
.

도는 18일부터 19일까지 이틀간 전북대 진수당에서 글로벌 생명경제도시비전 실현을 위한 2024 세계바이오혁신포럼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2024 세계바이오혁신포럼(World Bio Innovation Forum, 이하 WBIF)은 전북대학교 지역혁신센터와 카이스트(KAIST) 바이오혁신경영전문대학원이 주최하며 '메디컬푸드 및 기능성식품, 줄기세포치료 및 오가노이드'를 주제로 포럼이 진행된다.
이번 포럼은 국내외 바이오 전문가 20여명이 참여해 최신 연구 동향과 기술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로, 1일 차에는 메디컬푸드 및 기능성식품에 대한 발제와 토론이 진행되고, 2일 차에는 줄기세포치료와 오가노이드기술에 관해 논의가 이뤄진다.
김관영 도지사는 첫날 포럼에서 전북자치도의 바이오산업 육성방안을 소개하며 바이오 산업 육성목표로 그린바이오와 레드바이오의 융합으로 재생의료 중심 의생명 바이오 거점조성을 제시했다.
김 도지사는 전북의 바이오 산업 현황에 대해 LG화학, 하림, 풍림파마텍과 같은 전북의 대표적 바이오 관련 기업들이 입주해 있으며 기업들의 투자가 본격적으로 진행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현재 국내 유일의 독성평가 시험기관 안전성평가연구소’, 국내 유일의 방사선 비임상 연구소 첨단방사선연구소와 건강기능식품과 관련된 산업기반을 소개하며 전북 바이오산업의 경쟁력을 강조했다.
바이오 기업유치와 관련해 전북이 과거 연평균 바이오 기업 5개 사를 유치했던 것과는 달리 올해는 오가노이드사이언스’, ‘JBK과 같은 바이오 선도기업 30개 사를 유치함으로써 올해 목표의 120%의 실적을 달성했고 향후 5년간 바이오 관련 기업 150개를 유치해 전북의 바이오산업 생태계를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더불어 기업지원과 인력양성 부문은 내년터 바이오 관련 기업의 연구개발(R&D) 지원 규모를 200억 이상으로 확대한다는 방침을 내놓았다.
이와 함께 오는 2027년까지 14억 규모의 레드바이오 전용펀드를 조성해 바이오 벤처기업 등에 자금을 지원, 기업 성장을 지원하는 것은 물론 도내외 기관 및 대학과 협업해 의사과학자, 메카노바이오헬스전문인력, 제약산업 미래인력 등 바이오 분야 인력양성 방안을 제시했다.
바이오 분야 규제 화와 관련해서도 최근 미국과 EU 등에서 헴프(의료용 대마) 사용과 재배가 합법화되고 국내에서도 헴프의 의료용 원료로서 관심이 높아지고 있어 전북자치도는 특례를 활용해 전북이 헴프 연구개발 및 사업화를 위한 테스트베드로서 가능성을 강조하기도 했다.
김관영 도지사는 앞으로 바이오산업 육성 5개년 계획을 수립해 종합적인 로드맵을 마련하고 바이오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김관 기자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