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사설] 도내 서부권과 동부권 균형발전 해법 찾자

전북자치도가 민선 8기에 들어서면서 서부권, 특히 새만금 일대에 집중된 투자와 개발이 이뤄지면서 상대적으로 동부권 지역의 소외감이 증폭되고 있다. 이는 전북의 균형 발전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지역 간 갈등을 초래할 수 있는 잠재적 위험 요소이기도 하다. 동부권 주민들의 불만은 단순한 지역 이기주의가 아니라 불균형 발전에 대한 자연스런 불만이다. 따라서 전북도는 이를 해소하기 위한 전략적 해법과 정책 마련을 서둘러야 한다.

이를 위해 우선 동부권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맞춤형 개발 전략이 필요하다. 동부권은 뛰어난 자연경관과 문화유산을 보유하고 있지만, 지역의 잠재력을 경제적 가치로 전환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관광산업을 중심으로 한 지역 특화 개발이 필요하다. 예컨대 남원, 임실, 순창, 무주, 장수, 진안 등지의 자연환경을 활용한 친환경 관광지 조성과 더불어 전통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관광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동부권을 지속 가능한 관광산업의 중심지로 육성하고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게 해야 한다.

동부권의 산지를 활용한 임부산물과 농업 경쟁력 강화도 중요한 과제다. 이들 지역은 농업 및 임업이 주 산업이지만, 타 지역과의 경쟁에서 뒤처지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산림휴양과 워케이션 시설 등을 개발하고 스마트 농업 기술을 도입해서 지역 특산물의 브랜드화 및 고부가가치화에 주력해야 한다. 동부권역의 교육 및 인프라 확충도 중요한 문제다. 지역 주민들의 타 지역 유출을 막기 위해서는 교육 환경 개선이 필수적이다. 특히,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확대와 함께 대학 및 연구기관의 유치를 통해 청년층이 동부권에 머무를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이와 함께 교통 및 통신 인프라의 확충을 통해 동부권 주민들이 불편 없이 생활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는 것도 중요하다. 동부권의 발전을 위해서는 중앙정부와 전북도의 협력 강화가 필요하다. 지방자치단체가 단독으로 추진하기에는 한계가 있는 사업들에 대해 중앙정부의 재정적 지원과 정책적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예컨대 동부권을 대상으로 한 특별 개발 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실행하기 위한 예산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지자체와 지역 정치인들이 주민들의 목소리를 경청하고 서부권과의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한 정책적 우선순위를 재조정해야 한다.
국가 차원에서 보자면 전국 17개 광역지자체 가운데 전북이 발전에서 소외되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역내에서 소외지역 문제가 제기된다면 이는 자기모순이다. 동부권의 불만을 해소하고 지역 간 균형 발전을 이루기 위해서는 동부권의 특성에 맞는 맞춤형 개발 전략이 필요하다. 산지 자원화와 관광산업, 농업 경쟁력 강화, 교육 및 인프라 확충 등을 통해 동부권의 잠재력을 극대화하고, 중앙정부와의 협력을 통해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정책적 지원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노력이 결실을 맺을 때, 전북자치도는 진정한 의미에서 균형발전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 글쓴날 : [2025-01-07 14:09:48]

    Copyrights ⓒ 전북타임즈 & jeonbuktimes.bstorm.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