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기회의 땅' 새만금, 대한민국 8대 크루즈 기항지 꿈꾼다

-26년 새만금 크루즈 유치 지역관광·경제활력 강화
-테마브랜드 발굴 등 민관협업 기반 크루즈산업 본격 육성
-전북자치도·새만금개발청 등 8개 기관 협약도 이미 맺어
전북자치도가 크루즈산업 개척에 속도를 내고 있다. 전북 미래먹거리의 새로운 기회이자 관광 투자 활성화를 꾀하기 위해서다.

전북자치도는 새만금 크루즈 발전방향을 구체화하고, 포트세일 등 투자유치 관련 계획을 반영한 ‘새만금 신항만 크루즈 활성화 및 기반시설 조성을 위한 연구용역’을 연초에 추진할 계획이다.

이는 새만금개발청이 새만금권역 크루즈선 기항지 확보전략, 크루즈산업 육성 관련 중장기 발전 전략 기본구상 제시를 위한 용역을 지난해 9월 완료한데 따른 후속 작업이다. 새만금개발청과 공동으로 진행될 용역에서는 오는 2026년 새만금 신항만의 크루즈 기항지 도약 및 관련산업 발전 가능성을 가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와 새만금청이 크루즈산업에 뛰어든 것은 크루즈선박을 비롯해 승객을 대상으로 한 서비스를 통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산업으로 지속성장이 가능한 파급효과가 크기 때문이다.

세계 크루즈선사연합(CLIA)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전세계 크루즈 산업의 파급효과는 생산량 1억3천760만 유로, GDP 6천890만 유로, 고용 121만명, 총임금 4천280만 유로를 기록했다.

또한 한국관광공사가 외래 크루즈 관광객 1인 소비동향 및 1회당 기항객 수를 조사한 ‘크루즈 실적 발표 자료(2023.07)’에서도 최근 5년(2016-2019, 2023) 1회당 평균 기항객수는 1천367명으로 집계됐으며 1회 입항 당 승객이 지출하는 직접 지출액은 65먼7천855달러(9억여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크루즈산업은 크게 관광과 해운·항만·조선 등 4개 분야에 걸쳐 11개 업종으로 구성돼 있으며 균형발전을 통한 가치사슬체계가 형성돼 있는다는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기항지 배후도시와의 동반성장 가능성도 크다. 이런 가운데 새만금은 세계 최대 시장으로 꼽히는 중국과 인접해 있는 데다 아시아 유명 기항지들과 비교적 가까워 크루즈 노선 창출의 적지로, 대한민국의 8대 크루즈 기항지로 주목받고 있다.
정부도 크루즈산업 활성화에 적극적이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해양수산부는 지난해 6월 ‘크루즈 관광 활성화’ 방안을 내놓고 지역관광 및 경제 활력 지원에 나섰다.

전북도는 2026년 차질 없는 새만금 신항만 크루즈부두 개장을 위해 지난해 11월 8개 관계기관과 업무협약을 체결한 데 이어 예정된 용역 추진도 서두를 계획이다. 동시에 크루즈 기항지 구축을 위한 인프라와 지원체계 준비도 병행할 방침이다. 기항지 여건 개선도 추진된다. 새만금 및 근교도시 숙박·관광콘텐츠 확충과 함께 관광객 소비 촉진을 위한 쇼핑시설 유치도 논의된다. 새만금 크루즈 유치를 위한 외연도 확대한다. 국제박람회 참석 등을 통한 크루즈 네트워크 강화와 함께 프린세스, 코스타, 팬스타, 롯데JTB 등 관련 선사 및 여행사와 새만금 기항지 유치를 위한 소통을 이어가고 있다.

김종훈 경제부지사는 “유관기관들과 긴밀히 협업해 새만금을 대한민국 8대 기항지로 성장시키고 동북아시아 크루즈 중심지로 조성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군산=지송길 기자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