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전북특별법 주요 특례] 전북자치도, 첨단산업 육성 전초기지로 도약한다

[전북특별법 시행 주요 특례 … ⑤수소경제 이행촉진 등 첨단산업 특례]
-道, 차별적 지원이 아닌 신산업 테스트베드 공간으로 활용 적극 어필
-이차전지·바이오 미래 먹거리 발굴과 동시에 전통산업 다지기도
-생명경제 실현할 수소·신재생에너지산업 육성에도 적극 나서
전북자치도는 전북특별법을 발판 삼아 첨단 신산업의 생태계 조성에 집중하기로 했다.

특별자치도로서의 차별적 요구가 아닌, 신산업의 테스트베드 공간으로 활용되도록 적극 어필할 계획이다. 미래 먹거리로 떠오른 이차전지와 바이오산업을 비롯해 전통적인 강점 산업인 탄소와 수소, 신재생에너지, 자동차산업 육성을 위한 근거 규정을 법에 마련헤 새로운 미래를 위한 초석을 다지겠다는 비전이다.

지난 2023년 국가가 첨단전략산업의 체계적 육성을 위해 새만금에 지정한 이차전지 특화단지에는 실시간 고도분석센터, 사용후 배터리 재자원화 최적화센터 등 이차전지 기업을 위한 인프라가 곳곳에 들어서고 있다.

이와 더불어 초격차 기술확보를 위한 R&D 지원체계를 조성하고 수요맞춤형 인재 양성, 친기업형 협업플랫폼 구축 등 이차전지 산업육성을 위한 체계적 로드맵을 마련하고 최고의 테스트베드 공간을 그려가고 있다. 도는 지난해 생명경제 바이오(산·학·연·병·관) 얼라이언스를 구성하는 동시에 미국 하버드대학교 등과 함께 글로벌 네트워크를 구축하며 바이오산업의 미래 먹거리 발굴에도 힘쓰고 있다.
도는 올해부터 오는 2029년까지 5년간 바이오기업 150개 사 유치를 목표로 연구개발(R&D) 예산을 공격적으로 투입, 지원할 예정이다.

아울러, 탄소소재 의료기기 기술의 진흥 특례를 바탕으로 개발-임상-인허가-생산으로 이어지는 전주기 지원체계를 구축하고 이를 통해 전북자치도의 강점인 탄소소재 기술력과 의료 인프라를 결합한 혁신 의료기기 산업을 본격 육성한다. 탄소소재 의료기기 기술개발 지원센터에서 의료기기 설계·제작·시험평가를, 글로벌 혁신의료기술 실증지원센터에서 임상·비임상 시험을 수행한 성과를 기반으로, 향후 글로벌시장 진출에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다.

그간 수소용품 및 연료전지 인프라 4개소와 수소 생산기지 2개소(3.4톤/일), 수소도시(전주‧완주, 부안) 조성 등 기반을 다져온 전북자치도는 최근 현대자동차와 수소산업 혁신을 위한 상호협력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수소 생태계 전반에 대한 협업을 강화한다.

이에 한발 더 나아가 이번 특례를 기반으로 ▲수소특화 국가산단 조성 ▲청정수소 클러스터 예타 기획 ▲수소차 폐연료전지 시험‧인증 센터 구축 ▲수소특화단지 지정 준비 등 대규모 국책사업과 인프라 확충을 본격 추진한다.

전국 지자체 최초로 자동차 대체부품에 대한 인증제도도 도입한다.

자동차 대체부품의 성능 및 품질 인증 특례를 통해 자체 대체부품 인증기관 지정과 인증제도를 시행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 대체부품 시장의 저변 확대와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해 개발, 생산, 인증, 수출의 전주기 기반을 다지고 있다.

이미 새만금에 자율주행차, 농업기계, 해양무인 등 정부 공모사업에 선정돼 조성 중인 전북자치도는 컨트롤타워 기능을 수행하는 무인이동체 종합실증센터 구축방안 연구용역을 통해 설계부터 제작 및 인증까지 전단계를 아우르는 공간을 마련할 계획이다.

신원식 도 미래첨단산업국장은 “전북특별법을 발판삼아 새로운 미래를 열어갈 테스트베드 공간이 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며 “이차전지와 바이오 등 대한민국 첨단산업의 전초기지로 도약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최준호 기자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