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는 올해 불안정한 정치 상황과 국내외 경제 흐름을 넘어 기업과 소상공인이 튼튼한 민생경제의 새 지평을 열어 나가기로 했다.
전북자치도는 14일 ‘기업 생산성 향상와 지역경제 회복으로 전북경제 부흥’이라는 비전 실현을 위한 5대 목표와 실행과제를 제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총 3조1천603억원의 투자유치를 달성해 민선8기 14조원을 돌파했고 제22회 한인비즈니스대회 성공 개최(수출계약 5천8백만 달러) 했으며 기회발전특구(88만평)를 지정하기도 했다.
올해에는 누적 투자실적 17조를 목표로 미래 성장기업 유치 활동을 강화하고 신규 첨단국가산단 2개소(익산 국클2, 완주 수소) 예타 통과, 창업벤처 펀드 결성액 9천68억원 달성, 한인비즈니스대회 성과 확산을 추진한다.
조속한 민생 회복을 위해, 중소기업 육성자금 지원 규모 확대(3천억)와 사회적경제기업 금융 접근성 확대(60억)로 1인 자영업자 사회보험료 지원(1천950명) 등 경영 안전망을 확보한다.
중소기업 성장사다리 지원체계를 개선(혁신기업 육성, ESG경영 지원 등)하고 사회적경제기금 지원을 강화(금리 2~2.5%), 착한가격업소를 확대(489개소)해 지역경제 기반을 강화한다.
나아가 전북특별법에 반영된 새만금고용특구 지원기관을 설치하고 전북첨단과학기술단지, 글로벌창업이민센터 등 특례의 실행 방안 확보와 국제금융센터 건립 추진으로 새로운 전북 경제 성장 기틀을 다진다.
상반기 내 기회발전특구 지정을 확대하고 조세감면 특례 세법 개정 후 전북투자진흥지구 지정을 추진한다.
전북에 투자할 기업의 성공적 정착 지원을 위해 투자보조금 선지급 제도 본격 시행, 이주직원 정착 지원금 확대, 유치기업 본사 이전 시 투자 보조금) 추가 지원 등을 제공한다.
중소기업육성자금 3천억 규모 및 정책자금 기업별 융자한도 확대와 함께 기업애로해소 거버넌스를 구축하고 찾아가는 전담 공무원 교육을 추진한다. 소상공인 회생 보듬자금을 2천8백억원으로 확대하고 소상공인 저출산 대응 금융지원, 1인 자영업자 사회보험료 지원을 신설한다. 지자체 최초로 차별화된 벤처펀드 성과체계를 구축하고 기술스타트업 현장실증, 창업기업 통합추진단 운영, IR행사 기업 추천제 등을 운영하여 민간 중심의 창업 성장 디딤돌을 만든다.
한편 전북자치도는 ‘비상시국 대응 민생경제 종합대책’을 적극 추진해 기업과 소상공인이 튼튼한 전북경제 조기 달성에 노력을 다하기로 했다./최준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