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자치도가 도내 장애인의 자립과 생활안정을 촉진하기 위한 지원시책 강화에 발벗고 나섰다.
도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으로 전북에 등록된 장애인은 총 12만8천989명이다.
이들의 자립을 지원하기 위해 전북자치도는 1천240억원 규모의 예산을 투입한다. 이는 지난해보다 26억원이 증가한 금액으로, 5개 분야 25개 사업을 통해 장애인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특히, ‘장애인 생활안정 및 의료 지원사업’에는 장애수당, 장애인연금, 장애인 의료비 지원 등 9개 사업에 총 993억을 지원, 저소득 장애인들이 안정적인 삶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장애인 지역사회 자립지원 시범사업’은 장애인들이 지역사회에서 자립적으로 생활할 수 있도록 취업, 주택마련, 문화생활 등에 있어서 필요한 서비스를 1:1 밀착 지원하는 사업으로 총 20억원이 배정된다.
‘장애아동 가족지원사업’에는 181억원이 지원되며 장애아가족 양육지원사업과 장애아 돌보미 처우개선 사업 등 5개 사업을 통해 장애아 가족들이 겪는 어려움을 덜어주고 돌봄 서비스의 질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둔다.
아울러, ‘장애인 단체 지역사회 활동 지원사업’은 시각장애인 점자 교육, 장애인 야학교실 운영, 장애인 하이패스 단말기 지원사업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총 3억원이 지원된다. 이를 통해 장애인들이 지역사회에 잘 적응하고 생활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돕는다.
‘장애인 재활 및 자립지원사업’에는 장애인자립생활지원센터 운영, 거주시설 퇴소자 자립금 지원 등 7개 사업에 총 43억이 지원되며 장애인들이 탈시설 후 자립적인 삶을 살 수 있도록 돕는다.
특히, 장애인연금은 월 최대 43만2천510원, 장애아가족 양육지원 대상은 522명, 장애인돌보미 처우개선 보수교육수당은 시간당 1만590원으로 대폭 확대돼 장애인들의 자립을 유도할 방침이다.
양수미 도 장애인복지정책과장은 “이번 시책이 실질적인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모니터링하고 장애인의 의견을 지속적으로 반영해 정책을 보완해 나갈 계획이다”고 밝혔다./정소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