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의원은 이날 “새만금신항의 무역항 지정 방식에 대한 군산과 김제 간의 갈등이 심화하고 있는 상황으로, 이러한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도는 작년 7월 전문가 자문위원회를 구성했으며 새만금신항의 무역항 지정 방식에 대해 세 차례 회의를 진행했다”면서 “자문위원회는 새만금신항을 군산항과 연계한 One-Port 전략으로 통합 운영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고 설명했다.
김 의원은 그러나 “도지사는 자문위원회의 결과를 비공개로 처리하며 무역항 지정은 해양수산부의 권한이라는 이유로 책임을 회피하는 답변만 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애초에 새만금신항은 지자체 관할권 논쟁 대상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도지사는 해수부의 의견을 기다린다는 중립적인 의견을 내세워 두 지자체의 갈등만 조장하고 있다”며 “도지사는 내년 새만금신항의 개항을 앞둔 시점에서 더 이상의 갈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지금이라도 중재자로 나서고 자문위원회에서 논의된 새만금신항의 무역항 지정 방식에 대해 도민들에게 공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이와 함께 “새만금신항 건설기본계획에 따르면 새만금신항은 군산항의 수심 부족으로 인한 항만 능력 저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건설되는 항만으로 명시돼 있다”며 “이는 새만금신항은 군산항과의 연계를 염두에 두고 시작한 사업이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그러면서 “국내외 항만정책 또한 Two-Port 전략보다 One-Port 전략을 추진하고 있고 중국은 ‘1성(省) 1항만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일본은 인접한 지역의 항만을 연계해 공동 개발 및 운영을 추진하고 있다”면서 “국내에서는 부산항과 부산신항이 부산항만공사를 중심으로 일원화된 관리 시스템으로 운영 중이다”고 강조했다.
/군산=지송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