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사설] 국내 최대 신재생에너지단지가 주는 기대감


전북자치도가 산업통상자원부 신재생에너지 정책심의회를 통해 서남권 해상풍력 발전단지 내 1GW 규모의 ‘확산단지1’을 신재생에너지 집적화단지로 추가 지정받았다. 기존 0.4GW 규모의 시범단지에 이어 확산단지가 확대되면서 국내 최대 해상풍력 집적화단지가 조성된다. 이는 전북이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중심지로 자리매김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다. 이를 통해 전북은 안정적인 재생에너지 공급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동시에 도모한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이러한 거대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선결 과제가 있다.

먼저, 주민 수용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전북도는 2019년부터 ‘전북 서남권 해상풍력 민·관협의회’를 운영하며 주민과의 소통에 힘써왔다. 특히 어업권 보호, 해양환경 문제 해결, 주민 이익 공유 방안 등을 논의하며 상생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이는 신재생에너지 사업이 단순한 정부 정책을 넘어 지역사회와 조화를 이루며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는 필수적인 과정이다. 주민들이 사업의 직접적인 수혜자가 될 수 있도록 배당금 지급뿐 아니라 지역 기반의 협동조합 운영, 지역인재 우선 채용 등의 정책도 병행해야 한다.
정부와의 협력 강화도 필수적이다. 해상풍력 사업은 국방부, 해양수산부 등 다양한 관계부처의 협의가 필요하며 사업 부지 확보와 해상풍력 인프라 구축을 위한 행정 절차가 복잡하다. 전북도는 이미 풍황계측기 설치, 중량물 부두 지내력 조사 등을 진행하며 사업 추진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 하지만 이를 보다 속도감 있게 추진하기 위해서는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지원과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

해상풍력 발전은 탄소중립 시대를 대비한 필수적인 에너지원이며, 전북이 이를 주도할 수 있는 기회를 잡은 만큼, 이를 지속 가능하고 효과적으로 추진하는 것이 관건이다. 전북도는 이번 서남권 해상풍력 사업을 통해 국내 해상풍력 산업을 선도할 뿐 아니라, 글로벌 해상풍력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민간과 공공의 협력, 정부의 정책적 지원, 그리고 지역 주민과의 동반 성장 전략이 유기적으로 결합돼야 한다.

전북이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중심지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단순한 대규모 프로젝트 추진을 넘어 지속 가능한 발전 모델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친환경 기술 연구개발 투자 확대, 해상풍력 관련 산업 생태계 조성, 지역 내 전문 인력 양성 등이 필수적으로 병행돼야 한다. 또한 해상풍력 단지 건설이 환경과 조화를 이루도록 철저한 환경영향평가를 실시하고 생태계 보존과 재생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도 필요하다. 이번 서남권 해상풍력 확산단지 추가 지정은 전북이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중심지로 도약하는 중요한 발판이다. 민간과 공공이 협력해 안정적이고 지속 가능한 해상풍력 사업을 추진하고 지역 주민과의 상생 모델을 구축하는 것이 성공의 열쇠다. 전북이 신재생에너지의 중심지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지역사회, 정부, 기업 모두가 한마음으로 협력해야 할 때다.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