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자치도는 지속되는 경기 침체와 소비 위축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민생경제 살리기 대책을 신속하게 추진하고 있다.
전북자치도는 25일 ‘민생경제 살리기 점검회의’를 열어 민생경제 안정과 관련한 주요 정책의 집행 현황을 점검하고 소비진작을 위한 특별 대책의 추진상황도 점검했다.
이날 회의에는 14개 시군과 금융감독원 전북지원, 한국은행 전북본부, 전북신용보증재단, 전북경제통상진흥원, 전북테크노파크 등 7개 경제기관이 참여했다.
도는 지난해 12월 발표한 ‘민생경제 살리기 종합대책’에 포함된 소상공인 지원, 소비촉진, 기업 지원 등 3개 분야 45개 사업(총 3천186억원 규모)을 신속히 집행하고 있다. 특히, 3월까지 전체 예산의 40%(1천259억원)를 조기 집행해 지역경제 활성화를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이번 회의를 통해 민생경제를 살리고 도민 체감도를 높이기 위해 △민생경제사업 신속집행 철저 △민생경제 관련 사업 추경 적극 검토 △정책 수혜자인 유관기관, 단체와의 적극적인 소통 강화 노력을 당부했다. 이와 함께 시군의 소비촉진 시책사업과 건의사업 등도 논의했다.
지역내 소비 촉진과 골목상권 활성화를 위해 지역사랑상품권 발행을 조기에 추진한다. 25년 지역사랑상품권 발행규모는 1조3천36억원이며, 1월에는 평소(평균 936억원)보다 2배 확대한 1천845억원(전체 규모 중 14%)을 발행했다. 특히, 발행시기를 최대한 서둘러 내달까지 5천844억원(45%)을 발행할 계획이다.
또한 전북자치도는 추경에 50억원을 추가 편성하고 시군에서도 예비비, 추경 등을 통해 예산을 증액할 계획이다.
또한 일부 시군에서는 지역사랑상품권을 활용한 소비진작을 위한 시책을 시행한다. 도민의 빠른 일상 회복을 위한 민생회복(안정)지원금은 정읍시가 작년 12월부터 지급을 시작해 남원시, 김제시, 완주군, 진안군 등 5개 시군이 뒤따르고 있으며, 1천295억원 중 97.5%인 1천263억원이 지급돼 지역 내 소상공인 및 자영업자의 매출 증대 등 내수 소비가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외 시책사업으로 소상공인 도로점용료 감면을 내년까지 연장 추진하고, 영세 소상공인 특례보증 지원대상 제한을 완화하여 추진한다. 또한 온누리상품권 사용처를 대폭 확대 추진할 계획이다.
전북자치도 내 경제기관도 자금 조기 공급을 위해 함께 노력한다. 전북신용보증재단은 ’24년 대비 18.3% 증가한 역대 최대인 1조 2천억원의 자금 공급계획을 수립했다. 특히, 1분기 3천689억원을 조기 공급해 내수 촉진과 사회안전망 강화를 달성하고자 한다. 한국은행 전북본부는 중소기업 자금사정 모니터링에 따라 2월에 확대 배정된 한시 특별지원자금 1천600억원을 금융기관을 통해 저신용 자영업자 및 중소기업에 즉시 지원할 계획이다.
김종훈 경제부지사는 “어느 때보다 경제적 불확실성이 높은 지금, 도민들이 경기 회복을 체감할 수 있도록 민생경제 사업을 신속하게 집행해 지역경제 회복을 앞당기는데 총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김은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