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글로컬 전북대, 우즈벡 저탄소 축산 해결책 제시

전북대 글로벌 학생팀, 지속가능한 농업 위해 우즈벡 현장 연구
정부부처-지자체 ODA 사업으로 전북도 협력해 전수 방안 제안
전북대학교(총장 양오봉) 글로벌학생 연합팀이 우즈베키스탄에서 지속 가능한 저탄소 농업을 실현하기 위한 현장 연구를 통해 저탄소 축산 해결책을 제안했다.

이번 프로젝트는 글로컬대학30 사업의 일환으로 지난해 2학기 ‘국제문제해결 창의 프로젝트’ 수업과 연계된 공모전을 통해 글로벌학생 연합팀이 구성되어 진행되었다. 학생들은 실제 지속 가능한 저탄소 농업을 실현하기 위해 최근까지 우즈베키스탄을 직접 방문하여 현장을 연구했다.

특히 우즈베키스탄 농림부와 축산위원회, 축산연구소 및 한국의 KOICA 우즈베키스탄사무소, 농촌진흥청 KOPIA 우즈베키스탄 사무소, 한국 대사관 등 다양한 관련 기관과의 인터뷰 및 정책 회의를 통해 저탄소 농업의 중요성과 지속 가능한 방안을 논의했다.

우즈베키스탄은 중앙아시아의 농업 강국으로, 전통적인 농업 방식이 여전히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기후 변화와 탄소 발생 문제로 인해 농업 생산성이 저하되고 있는 상황이다. 우즈베키스탄 한국 대사관 원도연 대사는 “우즈베키스탄의 농업 문제 해결을 위한 기술 지원과 국제 협력이 중요한 시점”이라고 전했다.

이에 전북대 학생들이 나선 것이다. 글로벌학생 연합팀은 전북대 농생대 이학교 교수팀이 개발한 저탄소 축산 농법을 KOICA의 정부부처-지자체 공공협력 ODA 사업으로 전북도와 협력하여 전수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우즈베키스탄 농업 담당자는 “기후 변화 대응을 위한 농업 혁신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하며, “기술 이전과 국제 협력이 필수적이다. 저탄소 농업을 위한 사료를 개발하고 지속 가능한 농업 자원 관리 방안을 도입해야 한다”라고 덧붙이며 전북대 학생팀의 사업 제안에 큰 관심을 보였다.

/최성민 기자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