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저탄소농업 키운다...도, 친환경농업에 347억 투입

-친환경농업과 저탄소 인증 연결된 생산․판매․보존 전략 구성
-3대 추진과제 24개 단위사업에 사업비 347억원 투입

전북자치도는 기후변화와 고령화 등으로 인해 2020년 이후 감소하고 있는 친환경농업 활성화를 위해 친환경농업 생산기반 확대, 친환경농산물 유통․소비 확대, 농업환경 보전을 목표로 3대 추진과제, 24개 세부사업에 347억원을 투입, 집중 육성한다고 27일 밝혔다.

친환경농산물의 수요는 갈수록 증가하지만 현실은 오히려 재배면적이 줄고 있는 실정이다. 지난해 연말 기준 전국의 친환경농업인은 4만9천호로 이는 20년 5만9천호 대비 17%가 줄고, 친환경농업 인증면적 6만9천여ha로 20년 8만1천여ha에 비해 16% 감소한 수치이다.

도는 이에 따른 대책으로 친환경농업인 인력육성과 품목․면적 확대, 소득보전 정책을 통해 지속 가능한 친환경농업을 이어나갈 수 있는 생산기반 여건 조성에 주력한다.

또한 학교급식, 임산부 친환경농산물 꾸러미 등의 다품목 수요에 대응하고 친환경농업 지속 실천이 타 품목에 비해 어려운 과수․채소를 생산하는 친환경 농업인에게 ‘친환경 농산물 품목다양화 사업’을 통해 비닐하우스, 저온저장고, 고소작업차 등의 생산․유통 시설을 지원해 벼 이외 다양한 품목으로 생산을 확대 유도하고, 친환경농업집적지구 1개소에 10억원의 사업비로 친환경농업에 필요한 시설․장비를 지원, 친환경농업기반구축과 지역내 생산기지를 조성해 나갈 계획이다.

더불어 친환경농산물 인증비용 지원, 친환경농업직불금과 친환경 유기농업 육성 지원금 등을 통해 관행 농법에 비해 추가적으로 소요되는 비용을 지원․보전해 친환경농업을 포기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해나갈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할 방침이다. 특히 올해는 2018년 이후 7년만에 친환경농업직불금(국비) 단가 인상과 지급면적 상한(5ha→30ha)이 확대됐으며 국비 지원단가에 맞춰 도의 친환경 유기농업 육성 지원단가 또한 동일하게 인상함으로써 친환경농업인의 소득 향상에 많은 도움이 될 전망이다. 친환경농산물의 생산기반 확대에 맞춰 유통과 소비가 함께 성장하도록 여러 가지 방안 마련과 노력도 계속된다. 또한 미래세대의 건강과 직결되는 임산부에게 건강한 도내 친환경농산물을 공급하기 위한 임산부 친환경농산물 꾸러미 사업 확대를 위해 노력할 계획이다.

최재용 농생명축산산업국장은 “올해는 친환경농업을 확대하기 위해 친환경농업 육성 정책에 더욱 박차를 가하겠다”면서 “내실있는 사업 추진으로 친환경농업 전반에 걸쳐 결실을 맺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최준호 기자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