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도, 2036 하계올림픽 유치전담 조직 7월까지 구성

-사전 타당성 조사·중앙 부처 심의 등 준비 박차
2036 하계올림픽 국내 후보 도시로 선정돼 1차 관문을 넘은 전북자치도가 IOC 회원국가들을 상대로 본격적인 '스포츠 외교전'을 치를 준비를 서두르고 있다.

전북자치도는 4일 브리핑을 통해 "사전 타당성 조사, 국제올림픽위원회(IOC) 미래유치위원회 현장 실사 등에 대응할 전담 조직을 이르면 7월에 꾸릴 것"이라고 밝혔다.

'하계올림픽 유치 전담 조직은' 전북자치도가 국내 후보 도시 선정을 위해 꾸린 올림픽 TF의 확장판이다.

올림픽 TF의 구성원들은 타 부서와 겸직으로 올림픽 업무를 맡았지만 전담 조직은 추후 인사 발령을 통해 별도의 정식 조직으로 꾸려진다. 조직의 규모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으며 전북도가 연대하겠다고 발표한 대구, 충남, 전남, 광주 등 지자체의 직원도 파견받을 계획이다.

전담 조직의 역할은 사전 타당성 조사,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용역, 문화체육관광부·기획재정부 심의 및 현장 실사, IOC 미래유치위원회 국내 실사 준비, 국내외 올림픽 유치 홍보 등이다.

우선 급선무는 사전 타당성 조사로, 앞서 전북연구원이 올림픽 사전 타당성 조사를 하기는 했지만, 중앙부처 규정에 따라 객관성이 담보된 기관을 통해 다시해야 한다.

한국스포츠과학원, 한국문화관광연구원, 한국조세재정연구원, 한국행정연구원, 한국산업개발연구원, 한국개발연구원 등 6곳 중 1곳이 맡게 된다. 3∼4개월에 걸친 사전 타당성 조사 결과가 나오면 이를 포함한 '올림픽 유치 동의안'을 전북자치도의회에 보고한다. 이후 국제행사 개최계획서, 대한체육회 승인 자료, 도의회 의결서 등을 첨부해 문체부와 기재부의 승인을 차례로 받아야 한다. 기재부 승인까지는 거의 1년이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이정석 도 문화체육관광국장은 "전담 조직이 실질적으로 꾸려지는 시기는 이르면 7월이지만 그전에라도 인사 발령을 통해 전담 조직이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겠다"며 "2036 하계올림픽 유치에 뛰어들었거나 유치를 희망하는 해외 도시가 많기 때문에 동향 파악에도 주력하겠다"고 말했다./김은지 기자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