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전북도내 시군에서 발행한 지역화폐 총액은 1조5천87억원이며, 도민의 사용액은 발행액보다 많은 1조5천152억원으로 집계됐다.
특히 익산시는 4천676억원으로 가장 많은 지역화폐를 발행했고 군산시와 전주시가 각각 3천185억원, 2천1억원으로 뒤를 이었다. 군 지역에서는 고창군이 702억원으로 가장 많은 발행액을 기록했는데 익산시는 인구 규모가 비슷한 다른 자치단체와 비교했을 때도 발행액이 가장 많았다.
좋은정치시민넷(대표 손문선)은 최근 도내 14개 시군과 익산시의 지역화폐 운영 현황에 대한 분석 결과를 이같이 발표했다.
좋은정치시민넷에 따르면, 국도비 보조금과 자체 예산으로 지급되는 할인판매보전금은 총 1천476억6천만원으로, 모든 시군에서 10%의 할인율이 적용되고 있다. 발행운영비는 군산시가 19억4천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익산시는 18억7천만원을 기록했다. 전주시 등 도내 주요 3시에서 전주시 발행수수료율은 0.19%로 가장 낮았으며 군산시는 0.6%로 가장 높은 수수료율을 보였다.
익산시의 지역화폐인 '다이로움'은 지난해 발행액이 4천676억원으로 전년 대비 10.7% 감소했고 시민 사용액도 4천585억원으로 11.9% 줄었다. 이러한 감소는 인센티브 구간 단일화와 소비촉진지원금 폐지 등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가맹점 수는 1만6천695개소로 전년 대비 0.8% 감소했으나, 가입자 수는 26만393명으로 10.9% 증가해 지역화폐에 대한 시민들의 관심이 여전히 높음을 보여주고 있다.
좋은정치시민넷은 이같은 분석 결과를 통해 전북자치도 시군의 지역화폐 총 발행액이 지난해 익산시 일반회계 본 예산의 94% 수준으로 상당한 액수임에도 불구하고, 시군 예산으로 부담하는 지역화폐 발행운영비와 수수료율이 여전히 높은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손문선 대표는 이에 대해 “경기도처럼 공동운영대행사를 선정해 발행운영비를 줄일 수 있는 개선 대책이 필요하다”며, “특히 지역화폐 발행의 목적이 골목상권과 전통시장에서 소상공인 매출 증대 및 역외소비 억제에 있는 만큼 사용 현황에 대한 정밀한 분석을 통해 소상공인 점포에 대한 사용액을 늘리고 전통시장과 골목상권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는 정책적 방안이 모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익산=최준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