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전국교육공무직본부 전북지부는 6일 기자회견을 열고 "차별받는 학교 비정규직·교육공무직 여성 노동자들에게 평등한 돌봄권을 보장하라"고 촉구했다.
전북본부는 "3.8 세계 여성의 날이 돌아왔지만, 교육공무직 노동자들은 지난해와 다름없이 어린 자녀를 돌보기 위해 허덕이고 있다"며 "올해부터 시행되는 육아지원 3법도 여성 비정규직 노동자들에게는 빛 좋은 개살구일 뿐이다"고 주장했다.
이어 "임금이 삭감되는 육아휴직, 육아근로시간단축은 없는 살림을 더 힘들게 한다"며 "어렵게 육아지원 제도를 신청하면, 관리자가 예산 문제를 얘기하진 않을지, 동료가 업무를 떠맡게 되진 않을지 눈치를 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경제적 어려움에 더해 교육공무직 노동자들은 학교 안의 차별까지 겪고 있다"며 "학교의 정규직인 공무원의 출산, 육아지원 제도는 법보다 더 빠르게 개정되고 있어 따라잡을 수 없다. '출산, 육아지원 제도는 공무원에 준용한다'는 조항이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지만 교육청은 모르쇠로 일관하고 있다.
노조는 "저출생 극복, 일·가정 양립이 중요하다면 학교부터 모범을 보여야 한다"며 "교육청이 적극 나서 교육공무직의 돌봄권 역시 평등하게 보장해야 한다. 교육공무직 여성 노동자는 멈추지 않고 평등한 돌봄권을 요구하고 투쟁할 것"이라고 말했다.
기자회견에 참석한 한 교육공무직은 "임신과 육아는 모두에게 똑같은데 같은 공간에서 임신 중 단축 시간 차별과 육아시간 차별을 받고 있다는 게 이해가 가지 않는다"며 "교사는 육아시간을 쓸 때 우리 아이는 해열제 먹여서 어린이집 보내는 모습을 보고 너무 서럽다"고 눈물로 호소했다.
/최성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