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새만금특별지자체 출범 ‘삐끗’…합동지자체 추진단 구성 난항

-김제시장 관할권 다툼에 불참... "군산항 운영에 전북도 빠져라"
-전북도, "해수부 중앙항만심의회 이후 협약식 재추진 계획"
김관영 전북도지사가 심혈을 기울여 추진해 온 '새만금 특별지방자치단체(이하 특별지자체)' 출범 계획이 차질을 빚고 있다.

전북특별자치도는 19일 오전 도청에서 예정됐던 '특별지자체 합동추진단 구성 협약식'이 김제시의 불참으로 잠정 연기됐다고 밝혔다. 특별지자체는 30여년간 지지부진했던 새만금 사업의 속도감 있는 추진을 목적으로 하는 군산, 김제, 부안 등 3개 시·군의 기능통합으로, 행정구역의 경계를 허무는 행정통합과는 다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사전 정지작업으로 이날 합동추진단 구성 협약식을 할 계획이었다. 협약식에는 김 지사와 강임준 군산시장, 정성주 김제시장, 권익현 부안군수, 각 지역구 도의원과 시·군 의장 등이 참석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전날 늦은 오후 정성주 김제시장과 서백현 김제시의장이 돌연 전북도에 불참을 통보했다. 최근 가장 첨예한 신항만 관할권 문제로 전북도와 김제시 간의 감정이 틀어진 것이다. 군산시는 군산항과 새만금 신항을 통합 관리하는 원포트(One-Port)를, 김제시는 새만금 신항을 신규 항만으로 지정해 군산항과 분리하는 투포트(Two-Port)를 요구하며 갈등을 빚고 있다. 도와 군산시, 김제시는 오는 26일 열릴 '해양수산부 중앙항만정책심의회'에 출석해 각자의 의견을 개진할 예정이었다.

전북도는 자체 구성한 '새만금신항 무역항 지정 자문위원회' 회의 결과를 심의회에 제출하려 했으나 김제시가 반발하고 나섰다. '기초단체의 분쟁에 전북도는 중립을 지키라'는 게 김제시의 요구다. 그러나 군산시의회는 "자문위 결과를 공개하라"며 도지사 주민소환을 추진하는 등 연일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
 자문위 결과가 '뇌관'이 될 수 있다고 판단한 군산시와 김제시가 유불리에 따라 첨예하게 맞서는 상황에서 전북도가 난처한 입장에 빠진 것이다. 결국 도가 최종적으로 자문위 결과를 제출할 뜻을 굳히자 김제시가 협약식 불참으로 돌아섰다.

정 시장은 "군산항 운영 방식은 김제와 군산, 해수부가 알아서 하라고 놔두고 도는 중립적인 입장에서 과정과 결과를 지켜보면 된다“며 ”군산항과 새만금 신항을 분리해 둘 다 국가무역항으로 지정((Two-Port)하는 게 전북 입장에서는 더 이익이다"고 말했다.

전북도 관계자는 "해수부가 중앙항만정책심의회에서 지자체의 입장을 개진하라고 했으니 도는 절차대로 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을 김제시에 전했는데 김제시는 이를 수용할 수 없었던 것 같다"며 허탈해 했다. 도는 오는 26일 해수부 중앙항만정책심의회 이후에 협약식을 재추진할 계획이지만, 김제시 입장이 완강해 새만금 특별지자체 출범은 순탄치 않을 전망이다./김관 기자
  • 글쓴날 : [2025-03-19 16:28:47]

    Copyrights ⓒ 전북타임즈 & jeonbuktimes.bstorm.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