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전북중기청, 2024년 1인 창조기업 실태조사 결과 발표

- '1인창조기업법'에 따라 매년 1인 창조기업의 활동 현황 및 실태 등 조사
- 2022년 기준 1인 창조기업 첫 100만개 넘어‧‧‧주로 40대 초반 중장년 창업
전북지방중소벤처기업청(청장직무대리 유승우, 전북중기청)에 따르면, 중기부는 19일, ‘2024년 1인 창조기업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1인 창조기업은 창의성과 전문성을 갖춘 1인 또는 5인 미만의 공동사업자로서 상시근로자 없이 사업을 영위하는 자(부동산업 등 제외)를 의미한다.

이번 조사는 통계청의 2022년 기준 기업통계등록부(SBR)에 등록된 사업체 중 한국표준산업 분류체계상 중분류 43개 업종에 해당하는 1인 창조기업을 대상으로 하였다.

’22년 기준 1인 창조기업 수는 총 1,007,769개로 ‘21년 987,812개 대비 증가(2.0%)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업종별로는 ‘제조업’(24.2%), ‘전자상거래업’(24.2%), ‘교육서비스업’(17.3%),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10.8%)을 주로 영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4개 업종 비중 : 76.5%)

지역별로는 경기 28.5%(28.7만개), 서울 22.6%(25.8만개), 부산 6.2%(6.2만개), 경남 6.0%(6만개), 인천 5.5%(5.5만개) 순으로 나타났으며, 수도권이 56.6%(57.0만개), 비수도권이 43.4%(43.7만개)를 차지하였다.

평균 업력은 약 12.6년으로 ‘2011년 이전’에 설립된 기업이 41.2%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여, 1인 창조기업의 형태를 오랜 기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직 업종과 현업 연관성은 63.4%, 창업 전 직장 근무기간은 15.5년이며, 63.4%는 중소기업에서 근무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표자 연령은 평균 54.7세, 성별은 남성이 72.6%, 여성이 27.4%로 조사되었으며, 기업당 평균 매출액은 236백만원, 당기순이익은 34.8백만원으로 나타났다.

기업형태는 1인 창조기업 특성상 법인기업(14.1%)보다 개인사업체(85.9%)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주요 거래처로는 ‘개인 소비자(BtoC)’가 68.8%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다음으로 ‘기업체(BtoB)’ 28.5%, ‘정부·공공기관(BtoG)’ 2.5% 순으로 나타났다.

1인 창조기업 창업 동기는 ‘더 높은 소득을 얻기 위해’(37.8%), ‘적성과 능력 발휘’(28.1%), 생계유지를 위해’(14.6%) 순으로 높았으며, 창업 준비기간은 평균 11.7개월로 조사되었다.

또한, 창업 후 첫 매출 발생기간은 평균 2.7개월, 손익분기점 도달기간은 평균 28.6개월로 나타났다.

전북중기청 유승우 청장 직무대리는 이번 조사 결과가 “주로 직장에서 15년 정도 근무 후 전문성과 창의성을 갖춰 중장년에 진입하는 40세 전후에 창업을 하는 모습”이라며, “역량 있는 분들이 창업에 뛰어 들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최준호 기자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